야당엔 “대선 고소·고발 모두 취하” 친박엔 “복당 최대한 빨리 마무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나라당이 5일 지난해 대선 때 BBK와 관련해 통합민주당 인사들에 대해 취했던 고소·고발을 모두 취하하기로 했다. 또 친박 인사들의 복당 절차에 속도를 내 다음달 3일 전당대회 전까지 매듭짓기로 결정했다. 이명박 정부 출범 후 첫 재·보선에서 참패한 뒤 당 안팎을 향해 취한 화합 조치들이다. 쇠고기 파문으로 민심이 요동치는 상황에서 정치권 내 대치부터 풀겠다는 의도다.

강재섭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 대선 때 있었던 여야 간 고소·고발 사건들에 대해 오늘자로 고소를 취하하고, 원내대표가 상대방과 협의해 정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강 대표는 “해당 정당과 당사자의 반성을 들은 뒤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지만 정치권 모두의 화합을 위해 BBK 당사자를 포함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홍준표 원내대표도 “이 문제가 여야 갈등을 부추기고 민주당 내 강경파들이 온건파의 발목을 잡는 계기가 돼 취소키로 했다”며 “고시 관보 게재 유보와 야당의 재협상 결의 촉구안도 이미 수용한 만큼 야당은 국회 정상화에 노력해 달라”고 말했다.

그동안 “네거티브가 발붙이지 못하게 하겠다”며 고소·고발 건의 정치적 해결을 거부해온 한나라당으로선 파격적인 방향 전환이다. 지난 대선 당시 한나라당으로부터 고소·고발된 민주당 인사는 정동영 전 대통령 후보, 김종률·박영선 의원, 정봉주 전 의원 등이다.

한편 한나라당 당원자격심사위원회의는 이날 첫 회의를 열어 친박 인사들의 복당 일정 및 방법을 논의했다. 위원장인 권영세 사무총장은 회의가 끝난 뒤 “중앙당 자격심사위 설치에 논란이 있지만 친박 인사 복당 문제는 당 전체 화합에 관한 문제로 전국적으로 동일한 기준이 필요한 만큼 중앙당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복당 일정을 최대한 당길 생각이다. 전당대회(7월 3일) 전까지는 해야 한다”며 “당의 확실한 화합을 이루기 위해 대승적 해결을 원칙으로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국민 눈높이를 놓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해 친박연대 서청원 대표와 양정례 의원 등 검찰에 기소된 인사들에 대해선 신중하게 처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서 대표는 “무조건적 일괄 복당이 이뤄지지 않으면 친박연대에 잔류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사과해야 고발 취하”=한나라당의 고소·고발 취하 원칙에 대해 민주당 차영 대변인은 “늦었지만 다행”이라고 환영했다. 이어 “한나라당이 정치 공세 차원에서 민주당 인사들을 고발한 데 대한 사과가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래야 우리도 한나라당 인사들에 대한 고발을 취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나라당은 민주당이 고발 취하에 대한 ‘화답’이 없더라도 고소·고발 취하 입장에 변함이 없다는 반응이었다. 홍준표 원내대표는 “이미 취하에 필요한 관련 서류 검토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이가영 기자

▶ [J-HOT] 한나라 "청와대부터 바뀌어야 한다"

▶ [J-HOT] 민주당도 놀란 '수도권 표심' 이유는 역시…

▶ [J-HOT] 김해서 '노무현 효과' 톡톡히 본 민주

▶ [J-HOT] 고위 공직자들 만난 MB, 욕쟁이 할머니 언급하며…

▶ [J-HOT]국방부 "美 8군 사령부 하와이 이전" 확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