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외교부 대변인 ‘한·미 동맹’ 발언 외교 결례 논란에 “폄하 의도 없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명박 대통령이 중국을 국빈 방문하고 있음에도 중국 외교부 웹사이트는 28일 오후까지 한국의 국가원수를 노무현 대통령으로 잘못 소개하고 있다(빨간색 점선 안). 중국은 한국 언론의 문제 제기가 있자 이날 저녁 이명박 대통령으로 바로잡았다. [연합뉴스]

이명박 대통령의 방중 당일(27일)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발언이 외교적 결례가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다. 친강(秦剛)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 외신기자 회견에서 일본 교도(共同)통신 베이징(北京) 특파원의 질문에 답하면서 한·미 동맹을 폄하한다는 오해를 살 만한 말을 했다.

일본 특파원은 “이명박 정부가 중국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으면서 한편으로는 한·미 군사동맹을 강화하자고 했다. 한·미 관계가 동북아 안보에 어떤 영향을 줄 거라고 생각하나. 한·중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느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친 대변인은 “한·미 군사동맹은 역사가 남긴 하나의 산물이다. 잘 알다시피 시대가 변했다. (동북아) 역내 각국의 상황도 큰 변화를 맞았다. 냉전시대의 이른바 군사동맹으로 지금의 세계와 지역이 직면한 안보 문제를 관찰하고 따지고 처리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냉전시대의 군사동맹으로는 세계와 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유지할 수 없다는 중국 정부의 신(新)안보관에 따라, 이전에도 외교부 브리핑에서 군사동맹을 부정적으로 표현해 온 것과 답변의 기조가 같았다.

그러나 이날 발언은 이 대통령의 중국 방문과 맞물려 한국 정부의 한·미 동맹 강화 정책을 비판하는 것처럼 비쳤다. 일부 언론은 친 대변인의 발언을 ‘지나간 역사의 유물’이라고 해석해 “중국 정부가 한국 대통령의 국빈 방문 시점에 한·미 동맹을 폄하하려는 의도가 있는 발언을 했다”며 중국의 결례를 비판했다.

주중 한국 대사관이 정확한 발언의 배경과 진의를 문의하자, 친 대변인은 “‘역사의 산물’이라는 표현은 역사의 전개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란 의미를 설명하려는 것이지 한·미 동맹을 폄하하려는 의도는 결코 없었다”고 해명했다.

한편 한국 정부가 중국을 국빈 방문 중인 이 대통령의 중국중앙방송(CC-TV) 출연을 추진했으나 중국 측의 거부로 무산된 것으로 28일 확인됐다. 또 국내 방송사가 CC-TV와 공동 음악회를 개최하고, 이 대통령이 참석하려던 계획도 성사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CC-TV는 방송·영화 정책을 총괄하는 중국 정부 기구인 광전총국(廣電總局) 산하 국영 방송사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국내 모 방송사의 제안으로 CC-TV의 대담 프로그램에 이 대통령이 출연하는 방안을 청와대가 주중 한국 대사관을 통해 이달 초 추진했으나 CC-TV의 거부로 무산됐다”고 말했다.

베이징=장세정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