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자원·에너지 문제 함께 풀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한·중·일 30인회 제3차 회의를 앞두고 27일 중국 베이징호텔에서 환영 만찬이 열렸다. 이홍구 전 총리, 첸치천 전 중국 부총리,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일본 총리(왼쪽부터)가 중국 외교부장의 인사말을 들으며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김상선 기자]

한국·중국·일본 3국의 각계 저명 인사들로 구성된 ‘한·중·일 30인회’ 3차 회의가 28일 중국 베이징(北京)호텔에서 열린다.

올해 주제는 ‘지속 가능한 발전과 동북아 지역 협력’이다. 무역·금융, 에너지·환경, 문화·교육 등 3개 분과별로 깊이 있는 토론이 벌어질 예정이다. 27일 열린 환영 만찬에 참석한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은 “중국 정부는 동북아의 경제무역·투자·금융 협력을 강화하고 3국 자유무역지대 설치를 위한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허핑(何平) 신화통신 총편집(편집인)은 “2006년 서울에서 첫 회의를 시작한 데 이어 지난해는 도쿄(東京)에서 2차 회의를 열었다”며 “30인회가 세 나라 국민의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동북아 지역 발전을 이끌어내는 데 좋은 아이디어를 제공해 왔다”고 말했다.

홍석현 중앙일보 회장은 “30인회가 3국 정상회담 정례화,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조기 추진, 황해 공동어장 개발, 한자사전 공동 제작, 청정 에너지 공동 개발 등 훌륭한 콘텐트를 제시했으며 세 나라를 상징하는 지적 네트워크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고 평가했다. 또 “지난해 말과 올해 초 각각 출범한 3국 정부는 과거보다 미래를, 갈등보다 협력을 지향한다”며 “30인회의 취지와 일치하는 만큼 30인회가 제안하는 아이디어를 3국 정부가 작은 것부터 실천해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스기타 료키(杉田亮毅)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 회장은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 문제를 둘러싸고 정부 간 교류가 거의 단절됐던 2005년 30인회의 출범이 논의되면서 그 이후 3국 교류가 활성화됐다”며 “이번 3차 회의에서는 그동안 논의한 내용을 정리해 각국 정부가 현실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글=장세정 특파원, 김현기 도쿄 특파원 , 사진=김상선 기자

◇한·중·일 30인회= 중앙일보·신화통신사·니혼게이자이신문이 공동 발의해 한·중·일 3국의 경제·교육·문화 등 각계 저명 인사 30명으로 구성된 민간 회의 기구. 3국을 돌아가면서 매년 한 차례 회의가 열린다. 이홍구 전 한국 총리, 첸치천(錢其琛) 전 중국 부총리,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 전 일본 총리가 각각 한·중·일 3국 대표를 맡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