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 “의회에 한·미 FTA 비준 압력”, MB “미국, 북핵 적당히 안 넘길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이명박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20일 오전(한국시간) 캠프 데이비드에서 공동 언론회동을 마친 뒤 등을 감싸고 별장으로 돌아가고 있다. [사진=김경빈 기자]

이명박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한·미 동맹을 민주주의·시장경제 등 보편적 가치를 바탕으로 공동 이익을 추구하고, 지역 범위도 한반도를 넘어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21세기 전략적 동맹 관계’로 격상시키기로 했다. 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양국 의회에서 연내 비준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이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은 이날 미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첫 정상회담을 한 뒤 공동 언론회동을 통해 회담 결과를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국제 정세와 경제·안보 환경이 변함에 따라 한·미 동맹도 새롭게 변화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며 “부시 대통령과 나는 한·미 동맹을 자유와 민주주의, 인권, 시장경제의 가치와 신뢰를 바탕으로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21세기에 맞는 새로운 전략동맹’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부시 대통령도 공감을 표시하며 ▶핵 비확산 ▶자유·공정 무역환경 제공 등을 공동의 과제로 제시했다. 하지만 전략동맹의 구체적 내용에 관한 합의는 7월로 미뤄졌다. 정부 당국자는 “실무 협의를 거쳐 7월 부시 대통령의 서울 답방 때 이뤄질 정상회담에서 전략동맹 미래 비전이 문서로 발표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한·미 FTA와 관련, 부시 대통령은 “미 행정부의 최우선 과제는 한·미 FTA 통과”라며 “의회에 계속 압력을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 현안에 관한 구체적 합의도 나왔다. 이 대통령은 회담 후 워싱턴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현재 2만8500명인 주한미군을 올해 말까지 2만5000명으로 줄이기로 돼 있었으나 회담에서 현 숫자를 유지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또 한국의 미국산 무기 구매 문제와 관련, 대외군사판매(FMS) 조건을 최혜국인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나 ‘나토+일본·호주·뉴질랜드 그룹’과 같은 수준으로 격상되도록 미국 측이 적극 노력한다는 데 합의했다.

북핵 문제에 대해서는 북한의 핵무기 불용과 6자회담을 통한 평화적·외교적 해결 원칙을 재확인했다. 부시 대통령은 “북한은 모든 핵 프로그램을 완전히 신고하고 검증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며 철저한 검증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특파원 간담회에서 “미국이 (신고와 검증 단계에서) 적당히 넘어가지는 않을 것 같다”고 전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와 함께 한국의 미국 비자면제프로그램(VWP) 연내 가입이 실현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마이클 처토프 미 국토안보부 장관은 18일 VWP 가입을 위한 양해각서에 서명했다.

워싱턴=이상일 특파원 캠프 데이비드=최상연 기자, 사진=김경빈 기자

[J-HOT]

▶ "열린우리당 왜 망했는지 보면 답 나와"

▶ 5살 연상 MB, 부시 어깨 '툭툭 치며' 대화

▶ 미국, 한국에 껄끄러운 문제는 일단 피했다

▶ MB 감사인사에 부시 "친구에게 이 정도는 해야"

▶ 지난해 국회의원 후원금 2위 박근혜…1위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