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山河를 뒤덮은 쓰레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피서객들이 휩쓸고 지나간 전국의 피서지들은 요즘 하나같이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강과 바다에는 비닐.종이등이 여기저기떠다니고,산과 계곡 곳곳에는 음식물찌꺼기등 쓰레기 썩는 악취(惡臭)가 진동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행락인구가 늘어감에 따라 해가 갈수록 심각성을더하고 있다.
법규의 미비 탓이 아니다.산림법.환경보전법.폐기물관리법.경범죄처벌법등 단속 법규는 완벽하다 할 수 있다.문제는 법이 어떻든 그것을 전혀 개의치 않는 사람들이 너무도 많다는데 있다.법에 따른 철저한 단속도 물론 해야 할 것이다.그러 나 이도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기 힘들다.산림청,국립공원관리공단,시.도관계공무원을 모두 합쳐도 3천명정도인데 연간 행락객의 연인원은 3억5천만명에 이른다.
결국 근본해결책은 우리 국민의 법질서의식.환경보전의식.공중도덕의 문제로 귀착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당장 산과 바다와 강이 죽어가고 있는 판에 국민의 의식수준이 높아지기만 마냥 기다리고 있을 수도 없다.근본적인 해결책과는 별도로 「응급처방」도 생각해봐야 한다.
그 하나는 비록 근본적인 처방은 안되나마 시.도별 로 관계 공무원.경찰.아르바이트생등을 동원해 위반행위를 철저히 지속적으로단속하고 무거운 처벌을 하는 것이다.음주운전단속처럼 지속적으로하면 최소한 자신의 행위가 불법이며 삼가야겠다는 인식(認識)만은 심어줄 수 있다.
또 하나는 놀이의 장소도 가능한한 제한하는 것이다.선진국치고우리나라처럼 계곡이나 강변 어디에서고 마음대로 자리펴고 놀게 허용하는 나라는 없다.자리잡고 노는 곳은 지정돼 있다.노는 곳을 제한없이 허용해서는 오염을 막을 길이 없다는 것을 일찍이 깨달았기 때문이다.이젠 자손만대의 공유자산인 자연보호를 위해 자유를 제한할때도 되었다.사고공화국이란 오명(汚名)에 이어 쓰레기공화국이란 또 하나의 오명이 붙을까 두렵다.우선 전국적으로대청소날이라도 정해 썩어가는 쓰레 기들을 빨리 치워야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