民自 지도체제 어떻게되나-系派따라 밑그림 각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민자당의 지도체제와 관련한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김영삼대통령이 『국민의 정당으로 새롭게 태어날 수 있도록 당에 대한 결정을 내리겠다』고 하면서부터다.
마치 일파(一波)가 만파(萬波)를 부르는 양상이다.우선 눈에띄는 것이 현행 대표위원제를 당의장제로 바꾸는 방안이다.
총재-당의장-총장으로 이어지는 당무운영체제다.현재의 대표보다는 다소 권한이 강화된 당의장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 것 같다.
이 경우 부총재를 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만일 두더라도당의장의 자문역 정도로 활용하자는 생각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같은 방안은 주로 민정계에서 거론되고 있다.
또한 당의장도 민정계가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바탕에 깔려있다.
일반 당무는 당의장이 책임을 가지고 관장하는,즉 민정계가 당을 맡아 운영하겠다는 얘기로 해석되는 주장이다.
당의장이 아니고 현행과 같은 대표제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대표에게 보다 많은 권한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반면 민주계는 이같은 당의장제의 실현가능성을 높지 않게 보는모습이다.
민주계는 오히려 복수 부총재제 도입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4~5명의 부총재를 두고 이들이 전면에서 총재를 보좌토록 하자는 주장이다.
민자당의 고질병인 소외의식과 이로인한 방관.불만을 해소하고 중진들의 참여폭을 넓히자는 것이 부총재제 도입주장의 근거다.
민주계 일각에서는 당체질 개선을 위해 부총재를 경선으로 선출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도 제시하고 있다.
이 경우 金대통령이 강조하고 있는 세대교체가 한층 설득력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총선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부총재제를 도입할 경우 수석부총재가 현재의 대표역할을 맡게되고 다른 부총재들도 대통령을 정례적으로 면담할 수 있도록 해 무게를 얹어주자는 것이 부총재제 도입론자들의 생각같다.
물론 이밖에도 지역대표성을 가진 중진들을 임명직 부총재로 기용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으며 현 제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외부인사를 영입하거나 당직개편만 단행하면 된다는 주장도 있다.
굳이 따지자면 계파간의 선이 분명한 것도 아니다.
어떤 면에서는 변화가 있는 것은 분명한데 그 내용을 종잡을 수 없는데서 혼란이 가중되는 현상마저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金대통령은 21일 이춘구(李春九)대표와의 주례회동에서 『언론에서 이런저런 얘기를 하나 어떤 안에 대해 구체적인검토를 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미국에 다녀와서 복안을 가지고상의하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그래서 최종결정과 그 집행은 8월말이나 9월초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박범진(朴範珍)민자당대변인도 『대통령의 취임전반이 되는 8월25일 이전에는 지도체제변화가 어려울 것 같다』고 말해 당정개편이 다소 늦어질 것임을 시사했다.
〈金敎俊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