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리포트] 주꾸미, 알 꽉 찬 봄에 먹으면 간 해독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1면

‘봄 주꾸미, 가을 낙지’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봄에 맛보는 주꾸미는 별미다. 산란기를 앞둔 3, 4월에 가장 쫄깃하면서도 연한 맛을 내기 때문이다. 주꾸미의 살은 낙지보다 연하고, 꼴뚜기보다는 쫄깃하다. 또 감칠맛은 오징어를 능가한다. 지방은 적고 영양소는 풍부해 다이어트에도 좋다. 타우린 성분은 시력 회복, 당뇨병 예방, 콜레스테롤 억제를 돕는다. 특히 봄 주꾸미에는 머리처럼 생긴 몸통에 알이 가득 들어있다. 이 알은 간을 해독해 주고, 속을 편안하게 만들어 준다고 한다.

지난해 서울 가락시장에 들어온 주꾸미는 80% 이상이 중국산이었다. 국내산은 주로 제주 마라도, 전북 군산시, 충남 서천군 등지에서 들어온다. 요즘 가락시장에선 살아있는 중국산 활주꾸미가 최상품이다. 1㎏(8마리)에 1만2000~1만5000원 선, 중국산 냉장제품은 상품 4㎏상자가 2만~2만2000원 정도다. 중국산 주꾸미가 비싼 이유는 국내산보다 출하시기가 빨라 크고, 알이 꽉 차 있기 때문이다. 충남 서산시 활주꾸미는 최상품 1㎏(15마리)이 1만3500원, 군산·서천에서 출하되는 냉장주꾸미는 상품 5㎏상자에 2만8000원 정도. 3월 말~4월 초순엔 국내산 주꾸미의 알이 차오르며 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주꾸미를 살 땐 가급적 살아있는 것을 고른다. 신선한 주꾸미일수록 검은색에 가까운 회색을 띤다. 시간이 지날수록 신선도가 떨어져 색이 하얗게 변한다. 봄 주꾸미를 한층 잘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충남 서천군은 22~30일 ‘동백꽃 주꾸미 축제’를 연다. 행사가 열리는 마량리의 동백나무숲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정도로 장관이다. 신홍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조사분석팀 과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