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쟁>김대중씨 주장한 지역等權주의-부정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대중 亞太재단이사장의 지역등권주의 발언이 선거정국의 여야쟁점이 되고있다. 이 발언은 김이사장의 내각제 발언과도 맞물려 선거후의 정국에까지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양측의 지상(紙上)논쟁 들어본다. <편집자 주>역사적인 4대 지방선거를 한달도 채 남겨놓지 않은 민감한 시점에서 또 다시 지역감정을 선동하는 정계원로의 발언이 평지풍파를일으키고 있어 개탄을 금할 수가 없다.
김대중(金大中)亞太평화재단이사장은 호남.충청.대구등이 스스로뭉치는 것은 패권주의가 아니며,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우리나라가4~5개 지역단위로 분할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것은 「푸대접론」을 내세워 특정지역 주민들을 선동하는 지역분열론이며 지역패권주의 바로 그것이다.국민 기만을 위해 「등권」이라는 표현을 동원했을 뿐이다.
대통령 출신지인 부산.경남과 다른지역을 대립구도로 몰아가고 이간시켜 싸움붙이려는 부도덕하고 반역사적인 언동인 것이다.
예상대로 金이사장은 지역분할을 전제로 내각책임제 개헌문제까지언급함으로써 호남패권주의를 이용한 정권욕을 단계적으로 드러내놓고 있다.
지역감정에 호소하여 호남지역을 자신의 수중에 넣고 마찬가지로지역감정으로 다른 지역을 장악한 세력과 연합,권력을 장악해 보겠다는 대권야욕의 수순(手順)일 뿐이다.주지하다시피 70년대 이후 우리나라 정치가 풀어야 할 가장 큰 역사적 과제는 지역감정의 해소다.
특히 남북 통일을 준비해야 하는 우리에게는 통일에 앞서 온국민의 통합과 결속이 다른 어떤 과제보다 우선인 것이다.
金이사장 본인도 지난 92년5월26일 당시 민주당 대통령후보로 선출된 직후 기자회견을 통해 『지역감정이 해결되지 않는 상태에서 남북통일이 될 경우를 생각하면 가슴이 섬뜩하다.대통령에당선되면 이 문제해결을 제1의 과제로 삼겠다』고 공약한 사실을잊지 않고 있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