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토 공습.세系 보복 보스니아사태 악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보스니아의 세르비아系에 대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공습과 이에 대한 세르비아계의 보복으로 최근 다소 진전을 보이는듯했던 보스니아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는 양상이다.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세르비아대통령의 보스니아 인정 시사와 보스니아 세르비아계 지도자 라도반 카라지치의 5대 접촉그룹 평화안 수용 시사등 평화적 사태해결을 향한 최근 일련의 긍정적 사태진전은 이날 공습과 이에 대한 세르비아계의 보복 공격으로 무의미해지고 만 것이다.
이날 NATO의 공습은 우선 교전쌍방에 전쟁 중단과 무기 반납을 최후통첩 했음에도 세르비아계가 보란듯이 이를 어긴데 대한응징으로 볼수 있다.NATO로서는 이번 공습으로 그간 세르비아계에 의해 공공연히「무시」돼 온 유엔과 NATO 등 국제사회의권위를 되찾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셈이다.
그러나 유엔의 요청에 의한 NATO의 이날 공습은 현지주둔 유엔군의 역할강화에 기여하는등 이러한 목적이 어느 정도 달성된것은 사실이나 동시에 상당한 부담도 내포하고 있다.이번 사태로현재 보스니아에서 활동중인 유엔보호군(UNPR OFOR)이나 유엔 요원들에 대한 세르비아계의 직접적인 공격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NATO의 이번 공습으로 이미 활발히 논의됐고,현재 유엔에서가능성을 진지하게 논의하고 있는 유엔군 철수논의가 보다 구체화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날의 제한적 공격에 대해 세르비아계가 즉각 유엔군을공격하는「모험」을 강행할 지는 미지수다.만약 유엔군이 공격받을경우 그간 방관자세를 취해온 미국이 對보스니아 정책을 바꿔 본격 개입할 가능성도 있어 세르비아계로서도 적지 않은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유엔이나 NATO는 이번 공습이 세르비아계를 평화협상 테이블로 유도하는 계기로 기능하기를 바랐겠지만,세르비아계가 이미 안전지대에 대한 보복으로 정면도전하고 있어 NATO는 조만간 공습을 재개할 것으로 보인다.
이제 보스니아사태는 평화적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보다는 당분간「힘에 의한 해결」이란 하책(下策)에 의해 방향이 결정될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 분석이다.
〈劉載植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