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분쟁 日분위기-官界 일제히 對美포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美日자동차교섭 결렬에 따른 미국의 강공(强攻)에 대해 일본의반격이 만만치않다.
미키 캔터 美무역대표부(USTR)대표가 10일 대일(對日)제재와 세계무역기구(WTO)제소통고를 발표하자마자 일본측에서도 기다렸다는듯 강경한 발언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캔터대표의 발표 직후 주미(駐美)일본대사관의 시치오(七尾)경제담당공사가 제일 먼저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의 일방적인 조치는 WTO의 룰을 위반하는 것이다.일본은 지금까지 미국에 많은양보를 해왔지 않느냐』며 강한 어조로 불만을 표 시했다.지금까지 미국을 달래왔던 일본의 태도에 비춰보면 日정부 입장을 대변한 주미 日대사관의 즉각적이고 강력한 반발은 매우 이례적인 것이다. 11일에는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총리가 WT0를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으며 통산성.운수성 등관련부처들도 일제히 「지원사격」을 가했다.무라야마총리는 이 문제가 미일 양국간의 전반적인 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지 도 모른다고 전제하면서 『미국 역시 일이 그렇게 발전되길 희망하고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하시모토 류타로(橋本龍太郎)통산상은 『이번 자동차교섭이 결렬된 것은 부품구입 목표와 외국차를 취급하는 딜러목표 등 사실상 2개 수치목표 를 끝까지 주장한 미국에 전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비난했다.
이러한 일본 정부측의 강경한 대미(對美)대응과는 대조적으로 일본 재계(財界)에서는 양비론(兩非論)이 나오고 있다.
미국의 대일제재 방침을 전해들은 日경제계 대표들은 『이같은 (미국의)일방적인 조치는 WTO의 정신에 위배되며 원만한 미일관계를 해칠 수밖에 없다』(도요타 經團連회장),『이따위 보복적조치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이나바 日상공회 의소회장)고 반발하면서도 『일본이 미리 했어야할 일들을 미뤘기 때문에 미국의 불신감을 산 측면도 있다』(나가노 日經連회장)며 시장개방과규제완화를 게을리한 일본 정부를 동시에 질책했다.
일본 정부의 미국에 대한 강경한 태도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반격策을 끌고나올 것인지 두고볼 일이다.
東京=金國振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