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목사 - 존슨 대통령 합작 흑백차별 철폐 혁명 일으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버락 오바마 상원의원이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을 추월한 데는 흑인의 집단 지원과 케네디 가문의 지지가 큰 힘이 됐다. 힐러리는 흑인의 영웅인 고(故) 마틴 루서 킹 목사와 관련해 말을 ‘잘못’하는 바람에 흑인과 케네디 가문의 표를 잃었다.

힐러리는 지난달 7일 흑인 민권운동가였던 킹 목사의 “나에겐 꿈이 있다”는 발언을 인용하며 ‘변화’를 강조한 오바마에 대해 “킹 목사의 꿈은 린든 존슨 대통령에 의해 실현됐다”고 공격했다. 흑백 평등이 킹 목사의 꿈이었다면 그걸 민권법(흑인에 대한 교육·고용 차별 금지)이란 입법을 통해 현실화한 건 1964년의 존슨 대통령이었다고 강조한 것이다. 힐러리는 슬로건보다는 경험과 행동이 중요하다는 뜻에서 그 말을 했다.

그러나 흑인들은 이를 킹 목사와 오바마를 비하하는 발언으로 이해했다. 에드워드 케네디 상원의원의 경우 힐러리가 존 F 케네디 대통령보다 존슨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여겨 불쾌해 했고, 이것이 오바마 지지의 한 동기가 됐다.

그렇다면 킹 목사와 존슨 전 대통령은 어떤 관계였을까. 조셉 칼리파노(76·사진) 컬럼비아대 ‘약물 중독 및 남용 연구센터’ 소장은 존슨 행정부 시절 백악관에서 국내 문제 담당 특별보좌관으로 일했다.

그는 27일 본지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훌륭한 비전을 가진 목사와 노련하면서도 미래를 내다본 정치인이 합작해 (흑백 차별 철폐라는) 사회혁명을 일으켰다”고 설명했다. 그는 “두 위대한 사람이 잘 협력했기 때문에 미국은 인종 차별의 나라에서 벗어났다”고 말했다. 힐러리의 발언이 적절했는지에 대해선 “노코멘트”라고 했다. 다음은 칼리파노 소장이 전하는 당시 상황.

“(63년 11월 22일)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당하고 며칠이 지난 뒤 킹 목사는 (부통령으로서 대통령직을 승계한) 존슨에게 민권법 제정을 적극 추진하라고 압박했다. 킹은 (차별의 뿌리가 깊은) 남부와 싸우기 위해 생명을 바칠 각오가 돼 있다고 했다. 존슨도 킹의 꿈과 의지를 잘 읽었다. 64년의 대선도 염두에 뒀다. 킹도 그런 존슨을 돕겠다고 했다.

존슨은 대선 전 민권법 제정을 강력히 밀어붙였다. 남부의 강력한 반대에도 뜻을 굽히지 않았다. 그는 상원 표결 때 뇌종양으로 말도 할 수 없었던 캘리포니아 출신 클레어 엥글 의원까지 동원했다. 엥글은 휠체어에 탄 채 눈(eye)을 가리켜 찬성(aye)의 뜻을 표시했다. 존슨은 민권법에 서명한 직후 보좌관 빌 모이여스에게 유명한 말을 남겼다. ‘이제 당신이나 내 남은 생애 동안 남부는 공화당으로 넘어갈 것’이라는 것이었다. 존슨은 그해 11월 대선에서 조지아 등 남부의 핵심 5개 주에서 패배했다.

그럼에도 존슨은 남부에 위축되지 않았다. 그는 65년 흑인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내용의 투표법 제정을 추진했다. 킹이 앨라배마주 셀마에서 흑인 시위를 주도하는 걸 존슨은 장려했다. 주 경찰이 시위대에 잔인한 폭행을 가했다는 보고를 받고 존슨은 앨라배마 주지사인 조지 왈라스를 욕했다. 그런 뒤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투표법 제정을 강조했고, 결국 입법에 성공했다. 존슨은 104년 전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노예를 해방하는 법에 서명한 그 장소에서 투표법에 서명했다 .”

워싱턴=이상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