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밤 대체 무슨 일 있었기에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대통합민주신당 유인태(얼굴左) 최고위원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김형오(右) 부위원장 간에 14일 밤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정부 조직법 개정안을 놓고 손학규 대표와 이명박 당선인을 대리해 협상에 나섰던 두 사람은 이날 막후에서 줄다리기를 벌였다.

두 사람이 만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여의도 정가에는 쟁점이었던 해양수산부와 여성가족부 중 하나를 살리는 선에서 타협이 이뤄질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일부 언론은 15일자에 해양부는 폐지하고 여성부는 유지하는 선에서 협상이 타결됐다는 소식을 전하기도 했다.

하지만 두 사람의 이야기는 달랐다. 유 최고위원은 15일 “협상 과정에서 한 번도 해양부 폐지에 동의할 수 있다고 말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김 부위원장도 “여성부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한 적이 없다”고 맞섰다.

두 사람은 “서로의 입장 차이를 확인한 자리였다”고 말한 대목만 일치했을 뿐 전날 밤에 대한 나머지 기억은 서로 달랐다. 만남의 동기부터 차이가 났다. 유 최고위원은 “며칠 전부터 인수위 쪽에서 해양부 폐지를 제외한 나머지는 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여 협상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부위원장은 “신당의 입장이 불분명했다”며 “우리 쪽이 해양부와 여성부 폐지 안을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임을 유 최고위원도 잘 알고 있었다”고 일축했다.

함께 나눈 대화에 대한 해석도 달랐다. 유 최고위원은 “해양부 폐지는 인수위의 정부조직 개편안의 골간이어서 어렵지만, 여성부는 유지할 수도 있다는 게 김 부위원장이 전한 입장이었다”며 “헤어진 뒤 전화로 여성부를 폐지하고 양성평등위원회를 두겠다는 게 이 당선인의 확고한 생각이라고 번복했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그런 전화를 한 적이 없다. 유 최고위원이 헷갈린 것 같다”며 “나는 처음부터 당선인의 뜻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섣불리 주고받으려고 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15일 하루 접촉을 피한 두 사람은 16일 다시 만난다. 유 최고위원은 “시간과 장소를 잡았다”고 했고, 김 부위원장은 “주말 동안 협상을 해보다 안 되면 다음주엔 강행한다”고 말했다.

임장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