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북녘동포>20.사회풍속도-결혼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혼례식은 대개 신부집과 신랑집에서 차례로「혼례상」을 차리고 음식을 함께 나누며 잔치를 한다.
함경도지방은 신부쪽이 모든 혼수를 준비한다.평안도를 제외한 일부 지역에서는 약혼식이 치러지면 그날밤 바로 신부집에서 초례(합방)를 치르도록 하는 이색풍속이 적지않이 퍼져있다.
『약혼식을 한 며칠 뒤에 대체로 결혼식을 한다.결혼비용은 신부측이 3천~4천원(노동자월급 80~1백원)정도 든다.살림장만을 많이 하면 3만~4만원까지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함북에서는「남자는 빤스(팬티)만 입고 장가든다」는 말이 나돌정도로 살림 장만은 전적으로 신부측 몫이다.
내가 장가들 때 부조금은 2천2백원이 들어왔다.대개 알짜친구는 1백원,직장동료는 10원을 낸다.부조금은 최하가 5원이다.
결혼식에 주례는 없다.사회자가「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와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동지의 배려에 의해 혼인한다」고 선언하는 것으로 결혼이 성립한다.첫날밤이 지난뒤 신랑에게 매질하는 풍습은황해도쪽에 일부 남아있고 보통은 결혼상을 받은 신랑.신부에게 노래를 시킨다.』(고청송.34) 『결혼식은 사회자의 간단한 선언이 끝나고 노래로 이어진다.「오직 한마음」 같은 김일성.김정일 찬양노래 등을 먼저 부른뒤 유행하는 노래를 독창이나 합창하며 흥겹게 논다.
결혼식이 끝날 때는「수령님의 만수무강을 축원합니다」를 부른다. 친구가 결혼할 때 그의 친척들이 술.음식등을 하나씩 맡았다.신부쪽에 보낸 함에는 여자 치마와 화장품을 담았다.식이 끝난뒤 신랑.신부의 친구들이 한 집을 빌려 놀기도 한다.혼인비용을5천원쯤 들이는 집들은 차를 빌려 인근을 드라이브 하기도 한다.』(안혁.27) 『신랑이 받는 결혼상에는 맨앞에 가자미나 명태,문어같은 생선류를 놓고 다음 술.찹쌀과줄.사과.배 등을 겹쳐 담아낸다.
닭 2마리와 큰 떡도 곁들인다.상에는 국수.계란.사탕등도 함께 놓는데 갯수는 짝수로 한다.생선을 구하지못하면 밀가루로 고기모양을 만들어 상위에 올리기도 한다.
손님상에는 국수와 시금치.고사리.무등 나물 4~5가지,그리고사람수에 맞춰 떡그릇(송편.찰떡등)하나,부식접시(돼지고기 한토막.삶은 계란 반쪽.사과 반쪽.가자미등)하나씩 돌아간다.잔치를하려면 1~2년전부터 준비해야 한다.
신부집 잔치때 상받은 자리에서 신랑이 닭다리를 뜯어서 장인.
장모에게 드리는 풍습도 있다.』(이옥금.45) 『약혼식은 신부집에서 하지만 술.음식은 신랑집에서 날라온다.약혼식을 하고 결혼 날짜가 가깝게 잡히면 합방을 허용하기도 한다.결혼할 것으로인정해주기 때문이다.약혼 선물은 시계.수건.화장품등이다.
혼례식은 신부집에서 먼저 하고 다음에 신랑집에서 한다.신부집결혼잔치에는 남자쪽의 삼촌등 친척 한두사람이 신랑과 함께 참석한다. 신부를 신랑집에 데려갈 때 남자쪽이 차를 준비해 살림살이까지 싣고 간다.강계(江界)에선 모든 세간살이를 여자가 마련하고 집은 남자가 준비한다.
신랑집에서 하는 잔치가 진짜 결혼식인 셈인데 부모님께 술을 따르고 사진을 찍는다.』(조승희.34) 혼인준비물및 신혼살림에관한 증언-.
『여자쪽에서 이불 3채를 포함해 세간살이를 준비한다.5장(이불장.찬장.옷장.책장.서랍장)6기(TV.냉장고.세탁기.사진기.
녹음기.자전거)가운데 최소한 5장은 마련하려고 애쓴다.』(엄만규.38) 『신부가 TV를 장만해 가져가면 시집에서 떠받들린다.이불장.양복장 정도면 잘 가져가는 것이다.이불 3채와 그릇등이 기본이다.요즘 큰 경대를 갖추는게 유행이다.』(여금주.21) 『예물로 남자는 시계나 화장품.필기도구등,여자는 시부모 양복지나 시댁 선물로 시누이.시동생에게 옷 한벌이나 치마 한벌감,나일론양말 한켤레등을 마련한다.약혼식때 신랑측에서 음식.단색치마저고리.화장품.양복지등을 보내온다.』(이옥금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