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군위안부 문제 해결위한 국제적 연대활동 지속강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해방 50주년 전쟁피해국 여성들의 가슴속에 응어리져 있는 일본군 종군위안부 문제를 풀기 위해 마련된 「제3차 일본군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의」가 북측대표가 불참한 가운데 27일부터 3일동안 서울 종로5가 여전도회관에서 개최됐다.
92년8월 서울 1차회의,93년10월 일본도쿄 2차회의에 이어 개최된 이번 회의에는 한국.일본.대만.필리핀의 군위안부 관련단체 대표및 군위안부출신 생존자등 2백여명이 참석했다.
주최측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공동대표 李효再등 3인)는 북한의 불참으로 남북간 문제해결의 실마리는 제공하지 못했지만 종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국제적연대」를 다지는데는 성공한 것으로 평가했다.
이번 회의는 일본정부의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우호기금」이라는 민간모금형식 위로금지급안을 거부하고 진상규명을 요구하기 위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자리.각국 대표들은 이를 위해 유엔인권위.국제중재재판소.국제노동기구(ILO)등 국제적 네 트워크를 모두 가동해 일본정부에 압력을 가하는 방법이 최상이라는데 의견결집을 보였다.
회의첫날 「왜 민간모금구상에 반대하는가」는 주제로 발표한 「일본 성(性)과 천황제를 생각하는 회」의 이시가와 이츠코(石川逸子)는 『일본정부가 군위안부문제를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이 되기 위해 넘어야 할 장애물쯤으로 여기고 있다』며 『민간기금안은태평양전쟁당시 강제연행피해자와 유족에의 배상으로 확대되는 것을막기 위한 술책』이라고 말했다.
둘쨋날 「일본군위안부문제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의 주제발표자인 지은희(池銀姬)정대협기획위원장은▲일본의 유엔안보리상임이사국 가입반대를 위한 국제적 서명결과를 3월 유엔여성지위위원회에 제출▲유엔인권위.유엔인권소위등에서 진행되고 있 는 특별보고관들의 조사활동에 조력▲일본정부가 32년 가입한 ILO의 강제노동금지조약에 위반한 사실을 들어 제소할것 등 국제여론을 통한해결책을 강조했다.
〈康弘俊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