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競選을 두려워하지 말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관심을 끌었던 민자당의 원내총무 경선(競選)이 결국 불발(不發)로 끝난 것은 유감스럽다.경선이라고 하지만 당총재가 지명하는 두 사람중 한 사람을 뽑는 극히 불완전한 경선인데도 이마저실현되지 못했다.상명하복(上命下服)의 굳어진 여 당체질로서는 그만큼 당의 민주화가 어려움을 실감하게 된다.
그러나 이번 일은 경선제를 부분적.시험적으로 도입하려는 민자당엔 좋은 교훈이 되는 측면도 있다고 본다.총무경선이 왜 불발로 끝났는지 원인을 따져보고 보완방안을 강구한다면 앞으로 실시하려는 시.도지부장과 일부 자치단체장 후보경선을 좀더 잘 할 수 있게 되고,내년 총무경선은 그야말로 경선답게 할 수도 있을것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보기에 민자당에는 처음부터 경선에 대한 걱정과 경계가지나쳤던 것 같다.집권당으로서는 처음 시도하는 총무경선이 혹 총재의 일사불란한 당지도권에 혼선을 불러일으키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강하게 작용했다.그러다 보니 경선이라고 하면서도 실은 경선이라고 하기 어려운 어정쩡한 제도가 돼버린게 아닌가.
그런 점에서 우리는 먼저 여당이 경선을 겁내고 두려워하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한다.우리나라 역대 집권당이 다일사불란한 지도체제를 좋아했지만 그런 방식이 성공한 일은 없었다.정당이란 원래 소리가 나고 다소 시끌벅적한 집단이라고 생각해야 한다.경선을 통한 경쟁과 다양한 주장이 당의 활력소가 되고,문제가 발생해도 책임과 비판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이번 총무경선의 불발도 따지고 보면 경선에 대한 지나친 걱정과 「일사불란」에 대한 집착에 그 원인 이 있는 셈이다.
그런 점에서 민자당은 사전에 후보를 지명하는 현재의 방식을 좀더 경선답게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경선이라면 비밀투표가 전제돼야 하고 투표결과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집중될 수있어야 참다운 경선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민자당의 첫 경선실험이 무산되긴 했지만 그것대로 귀중한 경험이라고 생각하면서 과감한 새 발상(發想)으로 실험을 계속하기 바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