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설>기본조차 못갖춘 地下관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지하매설물의 종합관리체제와 종합지도 작성이 시급하다.이번 가스폭발사고에서 재확인했듯 서울의 땅밑엔 각종 위험시설물들이 그득하다.고압의 도시가스를 저압으로 바꿔 공급하는 가스정압(整壓)시설이 서울 49개 초.중.고교 부지밑에 설치된 사실이 8일공개되기도 했다.
바람직스러운 일은 아니나 지하에 가스시설.고압선등 위험시설물을 설치하는 일 자체는 불가피한 것이다.가스도,전기도 사용하지않겠다면 모르되 그렇지 않다면 지하에 묻는 것이 지상에 설치하는 것보다 안전하고,설치하자면 인구가 밀집된 대 도시에선 주택밀집지나 도심지 지하도 그 대상이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일것이다.다만 문제는 안전을 얼마나 철저히 관리하고 있느냐에 있다. 이번 가스폭발사고나 지난번 광화문전화국 통신케이블사고,끊이지 않고 있는 가스배관 파손사고 등에서 보면 지하매설물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체제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심지어는 지하매설물의 지도조차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이것은 분 명히 문제다. 현재 지하매설물중 가스관은 도시가스업체,상수도는 시수도사업본부,하수도는 시하수국,통신케이블은 한국통신,고압선은 한전(韓電)이 맡아 관리하고 있다.지하매설물의 성격상 관리주체는다를 수 밖에 없겠으나 확장이나 보수공사,또는 사고때는 서로 유기적인 협조를 할 수 있는 체제가 갖춰져 있어야 하고,지하시설물의 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종합지도도 있어야 한다. 이런 유기적 공조체제도,종합지도도 작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소한 실수나 사고도 대형사고로 확대되기 일쑤다.그런데 더욱 한심스러운 일은 각 기관들이 자신들이 관리하는 개별 시설물의 지도조차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지하매설물 관리기관들은 우선 자신들이 관리하는 시설물에 대한 완벽한 지도작성에 나서야 한다.이와함께 각 기관들이 한자리에 모여 종합지도를 작성하고 그에 따른 관리및 협조체제를 구성해야 한다.그래야 사고위험도 줄 일 수 있고,공사시기의 조정등을 통해 예산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