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옥고 '민주화 운동 상징' 이 알선수재로 이부영씨 법정구속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3면

해직 기자→재야 정치인→꼬마 민주당의 유일 국회의원→한나라당 원내총무→국회의원 낙선→열린우리당 당의장→알선수재 혐의로 법정구속.

이부영(65.사진) 전 열린우리당 당의장의 파란만장한 삶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3부(부장판사 민병훈)는 6일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이 전 의원에게 징역 2년과 2억1070만원의 추징금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했다. 제이유그룹으로부터 2억여원을 받은 혐의다.

동아일보 해직 기자 출신인 이 전 의원은 한때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었다. 유신독재 반대 운동에 나섰다 1975년 긴급조치 위반으로 구속된 이후 7년여간 옥고를 치렀다. 80년대엔 '민통련'을 조직해 재야 민주화 운동을 주도했다. 그는 88년 노태우 대통령 취임 특별사면으로 풀려 났으나 곧 다시 수감됐다. 재야단체인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상임의장 자격으로 울산 지역 노조투쟁에 대한 지원연설을 한 혐의로 구속됐다.

이 전 의장은 90년 오랜 재야 정치인 생활을 접고 제도권 정치에 합류했다. 김대중씨가 이끌던 신민당과 이기택씨가 이끌던 민주당이 합친 통합민주당의 부총재가 된 것이다. 92년 서울 강동구에서 국회의원으로 당선 후 3선을 기록했다.

그는 94년 김일성 주석이 사망한 뒤 임시국회 외무통일위원회에서 "우리 쪽에서 조문단을 파견하겠다는 의사 표시를 할 뜻이 없는가"라고 질의했다가 보수 진영으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았다.

95년 김대중씨가 대선 출마를 위해 국민회의를 창당했으나 합류하지 않고 민주당에 남았다.

97년 대선 때는 지역주의 타파와 3김 청산을 주장하며 김대중 후보 대신 이회창 후보를 선택했다. 이후 한나라당 원내총무가 돼 헌정 사상 첫 특별검사제 도입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002년 대선 때는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서기도 했다. 그는 대선 패배 이후 열린우리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그러나 2004년 총선에서 낙마했다. 이후 열린우리당 당의장으로 취임했으나 이른바 4대 개혁입법을 통과시키지 못한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원외 시절 이 전 의원은 2005년 서울 논현동의 한 호텔에서 제이유 주수도 회장을 만났다. 주 회장은 "서해유전 개발사업과 방문판매법 개정과 관련해 애로사항이 생기면 도와 달라"고 말했다. 이후 그는 주 회장으로부터 차명계좌를 통해 네 차례에 걸쳐 총 2억여원을 받았다. 이 전 의장은 재판 과정에서 "주 회장과 호형호제하기로 한 것은 맞지만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면 1000억원을 대겠다'는 그의 제안도 뿌리쳤다"며 혐의 사실을 강력히 부인했다. 이 전 의원은 항소할 방침이다.

박성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