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진단>기업 위기관리-전문가 제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선진국의 대기업들은 80년대 후반부터 위기관리를 조직이나 인사.재무관리와 마찬가지로 경영관리의 주요항목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PR전문회사인 에델먼 월드와이드社와 업무제휴를 맺고 선진각국의 위기관리 프로그램을 국내에 도입.소개하고 있는 PR전문회사 퍼블릭코리아㈜ 이태하(李泰夏)대표의 말이다.
그는『84년 수천명의 목숨을 앗아간 인도 보팔市의 가스누출사고가 위기관리 프로그램개발의 기폭제로 작용했다』면서『현재는 항공사와 식품.제약.건설.은행.통신회사 등 주요기업들이 다투어 위기관리 프로그램을 채택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 다국적기업들은 세계 각국시장을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글로벌위기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李대표는『위기관리의 목표는 언제,어디서,어떤 형태로 발생할지모르는 위기상황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사전에 조직적인 위기대비 계획과 행동지침을 마련하고 적어도 상황발생 48시간안에 기업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조치들을 시행하기 위한 준비태세를 갖추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이같은 준비를 통해 위기로 인한손실을 최소화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유공.삼성전자 등 일부 대기업에서 부분적으로 위기관리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으나 전사(全社)차원의 종합적인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는 기업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李대표는 특히『최고경영자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없이는 효과적인 도입방안의 마련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