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기자실 폐쇄 … 1일부터 전화선·인터넷 통신 끊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경찰이 경찰청 기자실 폐쇄를 위한 조치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경찰은 주말인 1일 오후부터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청사 본관 2층 기자실의 전화선과 인터넷 통신을 끊었다. 이에 따라 기자들은 2일 기자실에서 개인 휴대전화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해 취재와 기사 작성을 계속했다.

이미 경찰청은 지난달 30일까지 기자실에서 철수하라고 일방적으로 통보했다. 이어 기자실에 보도자료와 일일 상황보고 배포를 중단했다. 지난달 27일부터는 기자실에 있던 컴퓨터와 팩스 등 사무기기도 없앴다. 1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경찰청 별관 1층에 만든 기사송고실로 옮기라는 것이다.

경찰은 기자실을 폐쇄하고 나면 곧바로 이곳에 '수사직무 교육장'을 만드는 공사를 벌인다는 내부 방침을 세워 놓았다. 청사 본관 엘리베이터 두 곳에는 카드 인식으로 출입을 통제하는 장비도 설치했다. 경찰청은 본관 기자실을 폐쇄하고 나면 이 장치를 가동할 계획이다. 또 기자실을 폐쇄한 뒤 본관과 별관 1층에 지하철 개찰구 형태의 검색대를 설치키로 했다. 이를 위해 2억7000여만원의 예산도 확보했다. 기자들은 이 같은 취재제한 조치가 국민의 알 권리와 경찰 조직에 대한 언론의 감시 기능을 크게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고 판단, 전면 거부키로 했다.

정부는 경찰의 경우 다른 정부 부처와는 성격이 다르다는 점을 인정, 그동안 기자실 폐쇄를 미뤄 왔다. 대민 접촉이 많고, 아직도 많은 일선 경찰서에서 인권침해와 강압수사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 때문이었다.

대선에 출마한 주요 후보들 모두 현 정부의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폐지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정부는 이미 서울 세종로와 과천의 기자실에서 기자들을 내쫓고, 이곳에 새 사무실을 만들었다. 기자들은 복도와 인근 PC방에서 기사를 작성하고 있다.

이철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