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나눔공동체] 이윤호 전경련 상근부회장 기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1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기업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는 방증일 뿐만 아니라 경쟁력과 직결돼 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기업이 좋으냐 나쁘냐를 가르는 기준은 두 가지, 즉 재무적 성과와 사회적 평판이다.

 그렇지만 큰돈을 벌어도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소홀히 해 명성을 잃으면 존립에 위협을 받게 된다. 이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 존립을 위한 필수요건이자 경쟁전략의 한 부분이 되고 있다.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중요한 통로다. 전경련이 매년 실시하는 사회공헌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 기업들의 사회공헌활동 지출 규모는 매출액 대비 0.3%, 경상이익 대비 2.7%로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 기업들에 비해 결코 떨어지는 수준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활동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평가는 그리 높지 않다. 대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지금까지의 사회공헌활동 내용, 그리고 홍보 부족이 그 원인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최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서도 두드러진 변화가 보인다. 환경보호·사회적 일자리 창출 등 우리 사회에 새롭게 떠오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진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경련은 우리 사회의 저출산,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해 올해부터 23억원의 기업 모금을 통해 저소득 불임부부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기업의 활동은 ‘기업 성과’와 ‘사회적 기여’가 조화를 이뤄야 한다. 기업이 성과를 내고 일자리를 유지·창출하는 것은 그 무엇보다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다.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는 장기적으로 기업의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속 가능한 사회공헌활동을 위해서도 기업은 성과를 내야 하며, 성과를 내기 위해 사회공헌활동도 전략 속에 녹아들어가야 한다. 이러한 전략적 고려는 기업과 사회가 함께 ‘윈-윈’ 할 수 있는 고리이자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정부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법과 제도를 갖춰 주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이 기업에 또 다른 규제가 되지 않도록 하는 환경 조성에 힘써야 한다. 2일부터 이틀간 서울광장에서 개최했던 2007년 사회공헌 문화 대축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업들과 국민의 인식을 새롭게 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기업과 시민단체 등 비정부기구(NGO)들이 중심이 돼 추진하는 사회공헌활동이 나누는 보람과 감사하는 마음으로 엮여 밑받침된다면 우리 사회는 더 풍요롭고 따뜻하고 아름다운 나라가 될 것이다.

이윤호 전경련 상근부회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