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 국민은행 대손충담금.급여인상등 과제 많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16~17일 이틀간 주식공모를 통해 민영화를 향한 첫 걸음을내딛게 되는 국민은행이「신장개업」 준비에 바쁘다.
우선 9월부터 경영진이 시중은행처럼 이사회로 바뀌면서 일반은행의 분위기를 내게된다.
현재 부행장.부행장보등으로 불리고 있는 경영진이 시중은행처럼전무.상무.이사등으로 바뀐다.이를 위해 은행장을 제외한 부행장보이상 임원 12명이 형식상 퇴직한뒤 현재의 보직과 서열에 따라 전무.상무이사등으로 명패를 바꿔 달게 된다.
이와함께 연말까지 로고변경등 이미지개선(CI)작업을 끝낼 계획이며 무인점포등 은행자동화를 확대,서민금융 전담은행으로 쌓아온 강점을 살려나간다는 전략이다.당초 은행이름을 바꾸는 방안도검토됐으나「국민」은행보다 더 나은 이름을 찾기 어려워 철회했다. 그러나 민영화과정에서 뭉칫돈을 들여 해결해야 하는 과제도 하나둘이 아니다.그동안 정부투자기관 회계규정을 적용받아온 회계처리기준이 일반은행들처럼 바뀜에 따라 대출금이 떼일 경우를 대비해 쌓아야 하는 대손충당금적립에 당장 1천억원이 새로 필요하다. 오는 96년부터 일반은행들에 똑 같이 적용되는 국제결제은행(BIS)의 자기자본지도비율 기준(8%)을 채우는 것도 시급한 과제다.
현재 국민은행의 자본금은 1천9백10억원이며BIS기준에 의한자기자본비율은 3.6%에 불과하다.따라서 BIS기준에 맞추려면내년중에 6천억원을 추가 증자해야 하는데 현재의 증시상황이나 다른 은행들과의 형평등을 감안하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시중은행보다 최소 10%이상 적게 주고 있던 임직원 월급을 올려줘야 하며외환및 국제금융.증권투자부문등의 전문인력 충원도 서둘러야 할 과제로 꼽힌다.
그동안 국책은행으로 법(국민은행법)과 정부의 보호막속에 안주해온 체질을 경쟁체질로 바꿔나가는 것도 국민은행이 거듭나기 위해 필요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吳泳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