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화 사건 재.관계파문 검찰 수사의지 아리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安秉華 前상공장관 수뢰사건을 수사해온 검찰이 이 사건 마무리에 고심하고 있다.
검찰은 4일 安씨의 구속을 발표하면서『관련된 모든 비리를 캐내 아직 정부의 사정의지가 식지않았음을 보여주겠다』며 자신에 차 있었다.
그러나 安씨의 구속에 이어 5일 밤 崔元碩 동아그룹회장을 소환조사한뒤부터 이를 발표하기는 커녕『더이상 나올게 없다.계좌추적이 안돼 수사진행이 더디다』며 일체의 수사진행상황에 대해 입을 닫고 꼬리를 내리기 시작했다.
검찰은 또 수사를 오래 끌 경우 재계에 미칠 영향등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새 정부들어 계속 하향곡선을 그으며 맥을 못추던 국내경제가 최근 모처럼 활황국면에 접어든 시점에서 수사가 계속될 경우 자연 기업들이 움츠러들어 경제가 크게 위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법조계에서는 이같은 경제계에 미칠 파장보다 安씨 수사결과에 따른 정치적 부담을 우려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이 安씨에 대한 조사 결과 정.관계 인사들에게 정치자금을제공했거나 자신의 인사와 관련한 로비를 한 사실이 드러날 경우이는 곧바로 6共 핵심부와 연결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이 경우 또 한번의「6共비리수사」「표적수사」로 비쳐져 현정부의 국정운영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검찰은 安씨수사가 어려운 이유로 계좌추적을 들고 있다.지난해슬롯머신업자 鄭德珍씨 계좌추적때도 3백여개중 검찰이 밝혀낸 것은 몇개에 불과하다면서 이미 입출금을 계속하면서 철저히 돈세탁한 뒤라 지금까지 별무소득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계좌추적이 제대로 안돼 더이상 혐의를 밝히지 못한다는검찰의 주장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대우그룹 金宇中회장과 동아그룹 崔元碩회장,(주)삼창 회장 朴炳贊씨에게서 각각 2억원씩을 주고 받았다는 사실은 계좌추적에서밝힌게 아니라 安씨의 자백과 崔회장.朴씨의 자백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전공사의 로비스트로 原電비리에 대해 많은 정보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朴씨와 安씨의 또다른 진술을 받아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럼에도 검찰이 수사를 서둘러 마무리 지으려는 것은 安씨 구속과 대기업총수에 대한 조사 자체에 의미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鄭載憲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