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청사 기자단 "기자실 이전 거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국정홍보처가 11일부터 정부 각 부처 기사 송고실 폐쇄 방침을 밝히고 출입기자들에게 10일까지 합동브리핑센터로 자리를 옮겨 줄 것을 서면 통보했다. 9일 서울 도렴동 외교통상부 송고실에서 기자들이 기사를 작성하고 있다. [사진=변선구 기자]

정부 중앙청사 출입기자단이 정부의 기자실 이전 요구를 거부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서울 세종로 정부 중앙청사에서 취재활동을 하는 5개 부처 출입기자단 간사단은 국정홍보처가 11일 기존 부처별 기사송고실을 강제 폐쇄하더라도 별관의 새 합동브리핑센터에는 들어가지 않기로 9일 결의했다. 5개 부처는 총리실.교육인적자원부.행정자치부.외교통상부.통일부다. 회의는 이날 오전 정부 중앙청사 본관 5층 기사송고실에서 1시간여 진행됐다.

기자단은 정부의 '취재 지원 선진화 방안'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한 입장도 재확인했다. 정부 중앙청사 출입기자단이 8월 30일 정부의 기자실 통폐합 조치의 전면 백지화 요구가 지금도 유효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한 것이다.

대책회의에서는 "홍보처의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조치를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는 기자들의 뜻을 담아 공동성명을 내자"는 의견도 제시됐다. 하지만 출입기자단의 입장이 전혀 달라진 게 없는 상황에서 굳이 별도의 성명을 낼 필요가 없다는 판단에 따라 공동성명은 따로 내지 않기로 했다. 구체적 대응 방안은 홍보처의 태도를 지켜보면서 다시 논의키로 입장을 정했다.

정부청사 출입기자단이 기자실 이전 거부를 결의함에 따라 기자실 폐쇄를 강행하려는 홍보처와의 물리적 충돌이 불가피해졌다. 홍보처는 출입기자들이 기자실 이전을 거부하면 ▶11일부터 기존 기자실의 인터넷 서비스를 전면 중단하고 ▶기사 송고용 부스를 모두 철거하며 ▶기자들의 송고실 출입을 완전 통제할 방침이다. 건교부도 보도자료를 출입기자에게 e-메일로 보내주는 서비스를 11일부터 전면 중단키로 했다.

국정홍보처는 이날 오전 기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부 중앙청사 별관 합동브리핑센터에서 국무회의 브리핑을 또다시 강행했다. 안영배 국정홍보처 차장이 실시한 이날 브리핑에는 불과 3~4명의 기자만 참석했다.

박신홍 기자 , 사진=변선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