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중앙일보를읽고…

남북 정상회담서 환경협력 논의는 당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9월 13일자 29면에 실린 공우석 경희대 교수의 칼럼 ‘남북 정상, 북한 환경 파괴도 논의를’을 읽었다. 산림파괴와 재해 관련 시스템의 미비로 북한에서 해마다 홍수 등 자연재해가 되풀이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이번 남북 정상회담에서 논의하라고 주문하는 내용이었다.

 우선 이 글을 읽으면서 새삼 놀란 부분이 있다. 언뜻 보기에 온난화 문제에 관한 한 산업화가 훨씬 더 진행되고 소비수준이 앞선 남한이 더 심각할 줄 알았는데, 실상은 온실가스를 조절할 수 있는 산림이 부족한 북한이 더 심하다는 사실이다.

 오늘날 환경 문제는 해당 국가만의 숙제가 아니다. 주변국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남북한은 한반도라는 작은 땅 위에서 같은 하늘을 이고 같은 공기를 마시고 있지 않은가. 따라서 남북이 환경 분야에서 협력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정상회담에서 환경 문제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까지 이뤄지기는 힘들 것이다. 정상회담인 만큼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큰 그림 수준에서 모든 게 논의될 것이기 때문이다. 환경 문제는 많은 기술적인 뒷받침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계 전문가들의 실무회담에서 다뤄야 한다. 다만 정상회담에서 환경에 대한 원칙적인 언급은 가능할 것이다.

 어쨌든 남북한이 협력해야 할 분야가 무궁무진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 정상회담 방법에 대해 나름대로의 조언을 하고 싶다. 남북한이 현실적으로 가장 필요한 문제에 대해 우선순위를 두되 합의가 쉬운 부분부터 매듭지어 나가야 한다는 점이다. 회담 전문가들이 이미 잘 알고 있는 내용이겠지만, 이번 정상회담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덧붙였다. 아무쪼록 이번 정상회담에서 남북한이 환경뿐만 아니라 많은 분야에서 실질적 협력의 질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강정민 부산시 사하구 신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