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중국 관광객사고 여론 들끓자 大陸정책 재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지난 88년 민간교류 개방이래 양적으로 급팽창추세를 보였던 中國과 臺灣간 교류가 지난 2일 발생한 대만의 대륙관광객 집단사망사건으로 인해 냉각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 사건의 처리과정에서 보여준 중국당국의 무성의와 사건진상규명 회피자세등에 대한 대만의 비난여론이 급등하고 있는 상태인데다가 대만당국은 이를 의식,대륙에 대한 투자관계등 일부 대륙정책을 재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만측은 이번 사건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륙의 치안등 관광저해 요인 ▲사후처리 과정에서의 원활한 정보교환 미비 등을 꼽고 있다.
대만의 리엔잔(連戰)행정원장이 지난 7일 『사건처리와 진상규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는 양안관계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정부측 공식입장을 밝혔다.이어 행정원 대륙위원회와 경제부등 정부 유관부서는 「대륙정책 재검토」및 대륙투자 제한등 수위높은 발언과 조치등을 내놓고 있다.
교통부가 사건직후 여행사의 대륙여행객 모집동결조치를 내놓은데이어 8일 경제부는 다시 대만기업의 중국내 전용공업구 건설을 당분간 중지한다고 발표했다.
또 이번 사건을 계기로 대륙내 대만인의 재산안전권문제도 새롭게 검토하는등 지난 88년 이후 현재까지 1백억달러가 넘는 대만기업의 중국대륙투자에 대한 안전대책마련도 아울러 강구중이다.
이러한 대만측의 강경한 입장으로 양안간 교류는 일 단 파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지난해 이미 1백억달러선을 넘어선 대만기업의 대륙투자진출 규모와 2백억달러에 육박하는 양안간 교역액수를 두고 보면대만정부측이 취할 수 있는 조치는 상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臺北=劉光鍾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