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도 물가高등록금.하숙비등 10~20%씩 껑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개학을 앞두고 대학가 주변 물가가 껑충 뛰어 학부모의 주름살을 깊게 하고 있다.
대학 등록금이 지난해보다 10~20% 인상된데다 하숙비와 책값.음식값등이 일반 물가상승률을 훨씬 웃돌만큼 일제히 오른 것이다. 하숙비는 지난 학기에 비해 10%가량 올랐고 음식값 또한 지역에 따라 20%이상 상승, 일부 학생들은 하숙을 포기하고 자취나 고시원으로 옮기고 있는 실정.책값도 최근 판매부족으로 발행부수가 격감한 사회 과학 서적과 우루과이 라운드 타결이후 美國의 지적 소유권 보호 압력을 받고 있는 외국 전공서적을중심으로 큰 폭으로 치솟고 있다.
◇하숙비.음식값=서울大앞 신림.봉천동의 경우 새학기들어 하숙비가 2만~4만원가량 올랐고 김치찌개등 밥값도 2천원에서 2천5백원으로 뛰었다.
中央大 주변 하숙비는 독방이 32만원에서 35만원으로, 2인1실이 22만원에서 25만원으로 인상됐고 커피값도 1천원에서 1천5백원으로 뛰었다.
延世大 주변의 하숙비는 아직 오르지 않고 있지만 새학기 개강과 함께 10%가량 인상하겠 다는 곳이 많다.
中央大 朴秦澈군(24.산업경제4)은 『하숙비를 감당하기 어려워 최근 자취방으로 옮겼다』며 『학우중 하숙에서 자취나 고시원.독서실로 옮기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책값=사회과학 교양서의 경우 최근 1~2년사이 5천~6천원대에서 1만원대로 치솟았다.
醫大 전공원서 값도 지난 학기에 비해「내과학 원리」가 5만원에서 7만원으로,「면역학」이 3만원에서 3만5천원으로 각각 오르는등 전반적으로 20~30%이상 뛰었다.
이에따라 의대 본과 1년생의 한해 책값은 지난해 60만~70만원에서 올해에는 80만~1백만원이상으로 뛰어 한 학기 등록금을 육박할 정도다.東國大 金圭榮군(22.산업공학2)은 『지난해까지 한달 생활비가 35만원정도였으나 올들어서는 45만원은 돼야 한다』며 『아르바이트를 해도 감당하기 힘들어 걱정』이라고 우울해 했다.
〈申容昊.趙紋槻.崔廷華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