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평균이 14억..시민들 허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6일 공개된 고위공직자 1천1백67명의 1인당 평균재산은 14억4천여만원으로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GNP)6천7백달러를 기준으로 할때 4인가족을 거느린 가장이 30년동안을 한푼도쓰지않고 모을수있는 6억2천여만원의 두배가 훨씬 넘는 규모다.
자칫「공직=富의 축적」이라는 부조리한 등식이 성립될수도 있다는 점에서 국민들은 허탈감과 박탈감을 느끼면서도 축소.누락이 많았던 1차 재산공개때와는 달리 이번 공개는 실체에 상당히 근접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따라 대다수 국민들은 공직수행시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을 축적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재산공개의 근본취지에따라 소유재산의성실 신고 및 재산형성과정의 정당성 여부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實査도 이같은 기준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또 이번 재산공개를 계기로 권력을 이용,부를 축적하려는공직자들이 뿌리 내릴수없는 풍토를 조성하는 한편 선의의 공직자들이 동요하지 않도록 해야한다는게 지배적인 의견이다.
◇徐京錫(經實聯사무총장)=재산공개로 공직자의 도덕성이 도마위에 올랐다.일부에서 비리.유착에 의해 부당하게 증식된것으로 보이는 재산이 드러났고,현저히 윤리에서 벗어난 공직자들에 대해서는 정부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마땅하다.이 번 기회에 축적된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는 자세가 세워져야하며 이같은 공직자가 많지 않은 것이 아쉽다.
◇鄭暢泳(延世大경영학교수)=재산공개가 권력.명예.재력이 분리되고 각 분야에서 국민을 위해 청렴하게 일하는 지도층으로 정착하는 계기가 될것을 기대한다.비위 공직자는 처벌받아 마땅하지만근면.절약을 통해 부를 축적한 사람까지 비난받는 玉石俱焚은 피해야할 것이다.
◇柳旋浩(40.변호사)=이번 재산공개는 금융실명제 실시이전에등록된 것이어서 예금.유가증권등을 상당부분 누락시킨 공직자가 다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지도층으로서 책임감을 저버린 재산형성과정은 문제삼아야 하지만, 공직사회의 혼란을 예방하기위해 이들에 대한 司正에 국민들이 납득할수있고 공직자들의 동요를 막을수있는 합리적인 기준이마련돼야할 것이다.
◇崔墩鎔(회계사)=財테크 방법을 배우고싶을 정도로 많은 재산을 모은 공직자들에게 환멸을 느낀다.1백억원 이상의 재력가가 10명이나 되는데 중소기업을 평생해도 이처럼 많은 순수재산을 모으는 것이 불가능하다.
만일 직위를 이용해 재산을 증식했다면 스스로 물러나야하며 이들에 대한 국민의 감시 역할이 커져야할 것이다.
◇趙銀河(24.成均館大 역사교육4)=재산공개를 통해 겉으로는국민을 위한다고 하면서 속으로는 부의 축적에만 몰두했던 정치인.공직자들의 부패.타락을 확인했다.이는 성실히 일하는 국민들을깊은 자괴감 속으로 몰아넣는 배신행위가 아닐수 없다.그러나 과거 은폐됐던 재산이 드러나 제도적으로 검은 돈의 흐름이 불가능해진 것이 다행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