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산성토양 강산성화-대기오염 산성비 영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서울시내 산과 숲의 토양이 대기오염및 산성비등 영향으로 강산성화되고 있고,이에따라 나무의 생장도 느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은 24일 남산.인왕산.수락산등 서울도심및 외곽지대 산림에 대한 환경생태조사결과 남산과 홍릉의 토양산성도 는 각각 4.1,인왕산과 창덕궁은 각각 4.4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반면 수락산과 관악산의 일부인 삼성산은 각각 4.8,4.7의강산성으로 도심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산성도가 약했다.토양의 산성도는 7를 기준으로 숫자가 적어질수록 강한 것이며,대부분 화강암질인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5.0~5.5의 분포를 보이고있다. 이에따라 서울도심 나무들의 생장도 늦어 소나무의 경우 외곽지역은 연간 2.4㎜가 자란데 비해 도심권은 1.45㎜밖에자라지 못했다.
또 행락객등의 영향으로 참나무류.둥글레.은방울.단풍취.고사리등은 거의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년간 폐쇄됐다 개방된 인왕산조차도 어린나무가 전혀 없어 숲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은 『토양개량.식생조성등 복원대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