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개혁 능력 부족 55%|서울대 학생 680여명 설문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서울대생들은 과반수 이상이 현재 문민정부가 추진하는 개혁의지와 능력을 부정적으로 보며 개혁의 지속성에 깊은 의구심을 갖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생들은 또 개혁속도는 적당하나 개혁의 폭은 보다 더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새 정부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빈부갈등과 경기회복 등 경제문제를 꼽았다.
이 같은 사실은 서울대 사회학과 사회학연구 실습팀 (지도교수 장경섭)이 5월말 학부생 6백80여명을 대상으로 한「서울대생의 새 정부 개혁에 대한 태도조사연구」결과 밝혀졌다.
이 조사에 따르면 학생들의 54.9%는 「새 정부의 개혁의지와 능력」을「부정적 또는 대체로 부정적」으로 보고 있었고 「긍정적 또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한 학생은 38.8%에 불과했다.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학생들은 그 이유로 「정부의 문제해결 능력부족」(41.5%), 「정권의 보수성」(31.5%), 「권위주의적 성격」(13.5%) 등을 꼽았으며 긍정적이라고 한 학생은「개혁에 대한 국민적 합의」(53.1%), 「정부의 개혁의지」(30.2%)등을 들었다.
또 학생들의 63%는 개혁이「곧 약화되거나 중단될 것」으로 보았으며 「꾸준히 지속 될 것」이란 응답은 25.9%에 그쳐 현정부의 지속적인 개혁에 깊은 의구심을 표시했다.
학생들은 또 현 정부의 개혁진행속도에 대해 39.1%가「적당하다」고 보고 있으나 30·7%는「느리다」고 응답했고 개혁의 범위에 대해선 과반수이상인 56.1%가 「좁거나 지나치게 좁다」고 대답한데 비해「적당하다」는 22.9%에 불과해 좀더 폭넓고 과감한 개혁추진을 바랐다.
문민정부의 인사정책에 대해 학생들의 26.7%만이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65.5%가 「그저 그렇거나 능력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한편 조사대상자의 62.9%는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고 대답, 현실정치에 깊은 불신을 나타냈으며 민주당 16.8%, 민자당은 9%에 그쳤다.
학생들은 우리사회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돼야 할 문제로 14.4%가 빈부갈등을, 13.6%가 남북분단, 12.9%가 경기회복, 11.7%가 재벌집중을 들었고 지도층의 부패(9.2%), 민주화(8.8%)등도 지적되었다.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정부의 고통분담에 대해선 47.2%가 노동자 및 비 기득권 계층에만 불리하게 작용하므로 철회돼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41.7%는 「경제활성화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답해 이견이 맞서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화식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