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 교통사고위험 방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한국토지개발공사와 고양시가 일산 신도시내 교통신호등·도로표지판 등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책임을 전가하며 안전시설 설치를 외면하고 있어 2만9천여 입주민들이 교통사고 위험 속에 방치되고 있다.
토개공은『사용자인 고양시가 교통안전시설물을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고양시는 『신도시개발 주체인 토개공이 사업비를 부담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어 주민들만 불편을 겪고 있다.
◇교통안전시설물 부족=신도시건설공사가 끝나는 95년 말까지의 입주예정인구(27만6천명)의 10·5%인 2만9천여 명이 입주한 일산 신도시내에는 교통신호등 1백60개·도로표지판 3백 개 등 이 설치돼야 하나 현재 전체의 7·2%인 교통신호등 20개·도로표지판 13개만이 설치돼 있다.
지난달 31일부터 입주가 시작된 주엽동 일대 화성아파트단지 주변 도로의 경우 단 한곳에도 교통안전시설물이 없다. 주민 최세민씨(34·주부·화성아파트 908동505호)는『공사장을 오가는 트럭들이 과속질주를 일삼는 바람에 아이들을 밖에 내보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책임전가=토개공 측은 최초 입주시기인 지난해 8월 6억3천여 만원을 들여 교통신호등 20개와 도로표지판 13개를 설치했으나 추가 설치비부담은 어렵다는 입장.
토개공은『입주 초부터 사업비부담을 놓고 고양시와 대립하다 주민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자체 예산을 긴급히 편성, 일부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했으나 도로교통법 제3조 등 관련법규는 교통안전시설물 설치비용은 사용자인 지방자치단체 사업비로 충당하도록 하고 있다는 이유를 들어 고양시에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
그러나 고양시는『개발주체인 토개공이 개발이익금으로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전익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