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취직 못한 이공계 석·박사 1300명 일거리 만들어 준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미취업 이공계 석.박사 구제에 정부가 직접 나선다. 취업 알선으로는 해결되지 않아 정부가 돈을 내고 일거리를 주기로 했다. 인건비 형식의 '지참금'을 줘서라도 중소기업이나 대학.정부출연기관 등의 채용을 유도해 고등 실업자수를 줄여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7일 과학기술인 8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신년 인사회에서 "미취업 석.박사 1천3백여명을 연구사업에 참여시켜 연구 잠재력을 키우고, 일자리와도 연계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미취업 석.박사 1천80명을 대학.정부출연기관 등의 각종 프로젝트에 1년 정도 한시적으로 투입하고▶2백20명은 중소기업 부설 연구소에 취업시킨다는 세부 방침도 마련해 놓았다.

관련 예산도 1백30억원을 책정했다. 석.박사들이 중소기업 부설 연구소에 취직할 경우 박사들에겐 연봉 2천8백만원, 석사들에겐 2천2백만원을 정부가 대주기로 했다.

정부는 석.박사를 채용하는 중소기업은 정부가 주는 연봉의 30% 정도만 추가 지급하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한시적으로 대학이나 정부출연기관의 프로젝트에 참여할 박사에게는 매달 1백50만원, 석사에게는 1백20만원을 정부가 준다. 지난해에는 7백50명이 이 혜택을 받았다.

청와대와 과학기술부 기초과학인력국 관계자는 "현재 이공계 석.박사 실업자는 3천8백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며 "이중 1천3백여명이 일자리를 찾을 경우 '고등 실업난'은 어느 정도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권오규 정책수석은 "현재 외국 R&D센터가 5~6개 들어와 있고 투자가 진행 중인 것도 서너 군데 된다"며 "이 중 몇 곳과 미취업 석.박사들을 '서포팅 인력'으로 투입하는 문제도 논의중"이라고 말했다.

강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