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체육행사 때마다 北에 뒷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김운용 의원이 해명서 등에 담은 내용이 사실이라면 남북한이 동시에 참여한 체육행사 때마다 우리 정부나 체육계가 북한에 '참석' 대가를 꼬박꼬박 준 셈이 된다. 金의원 측은 시드니 올림픽과 남북 체육회담.부산 아시안게임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북한 측과 오간 팩스 사본)도 있다고 했다.

金의원 측 관계자는 "북한에서 먼저 돈(1백50만달러)을 요구했다. 돈을 주지 않으면 북한 측이 (체육 교류에)적극적으로 응하지 않는다"면서 돈 제공이 불가피했음을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金의원이 압수당한 1백60만달러가 전부 북한 지원용은 아니지 않으냐"는 질문에 "국제 스포츠계는 우리 정치판과 비슷하다. 돈이 많이 들어간다. 金의원이 IOC 위원장에도 출마해야 하지 않느냐"고 답했다.

金의원이 압수당한 돈 가운데 정부 돈이 들어 있거나 정부 지원하에 북에 돈이 전달됐음이 확인될 경우 특검 수사까지 벌어진 대북 송금사건의 재판이 될 수 있다. 특히 2001년 남북 체육회담은 국회 문광위원장이 참여하고 정부가 지원한 행사였다.

하지만 검찰은 金의원 측 해명에 크게 신빙성을 두지 않고 있다. 서울지검 간부는 "金의원 측이 그렇게 주장하지만 검찰로선 검증할 방법이 없다. (남북 체육 교류에 대한)협조 대가라면 개인이 돈쓸 일이 아니고 국가 차원의 일로 KOC에서 논의할 대상이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또 "40만달러를 주기 위해 금고에 (1백60만달러의) 돈을 보관한다는 건 설득력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래저래 '1백60만 달러'의 출처에 대한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게 됐다.

조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