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공­동자 통폐합/인원조정 관심/에너지관련 사업5국 유지 희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상공부 중하위직 「인사적체」 걱정
상공부와 동자부의 통폐합이 관련 법 개정안의 국회 행정위 통과(20일)로 기정사실화되자 두 부처는 긴장하는 표정인 가운데 많은 얘기들이 오가고 있다.
특히 15년전 상공부로부터 독립했다 다시 「흡수」되는 입장인 동자부 직원들은 기구축소로 인한 불이익과 에너지정책의 위상저하 우려로 착잡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상공부는 에너지정책을 전체적인 산업정책의 틀속에서 다룰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잘 됐다는 반응이 있는가 하면 심한 인사적체가 예상돼 즐겁지만은 않은 표정이다.
○…정부 주변에서는 2실·4국·4담당관(2급)·30개과로 커져있는 동자부를 어떻게 감량할 것인지가 큰 관심거리다. 기구축소가 클수록 동자부직원중 대기발령을 받는 인원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최소한 동자부의 사업5국(에너지정책실 및 전력국 등 4개국)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는데 동자부와 상공부가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기획관리실 등 지원부서의 인력조정은 불가피할지라도 자원·에너지정책의 일관성과 비중유지를 위해서는 사업5국의 축소는 곤란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총무처와 민자당 일각에서는 정부기구 축소라는 본래의 뜻을 살리기 위해서는 동자부의 부서가 3개국이내로 줄여져 합병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총무처는 3월중 두부처의 합병을 끝낼 계획이다. 만일 동자부의 사업 5국이 유지된다면 신설 「상공자원부」는 2실·13국 규모가 돼 코끼리부서인 외무부·국방부 다음으로 큰 부서가 되게 된다.
○…침통한 표정의 동자부는 주말인 20일 전직원이 과천 청계산에서 마무리 등산대회를 가진데 이어 21일에는 진념장관이 국장급 간부와 송별운동모임을 갖고 동자부 15년을 회고했다.
최대 현안은 인사불이익 문제. 국이 대폭 축소될 경우 12명의 국장급중 최고 9∼10명이 보직을 못받을 우려가 있어 진 장관은 「전원 신분보장」을 관계요로에 요청중이라는 후문이다. 동자부는 그나마 새부서 명칭이 상공자원부로 돼 흡수아닌 통합의 모양을 갖춘데 자위하고 있다.
○…상공부는 산업정책 총괄부서로서 위상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지만 기존의 직제증원 수요를 꺼내지도 못하게 됐고 인사적체가 예상돼 중하위직은 불편한 심기다.
또한 「비대부서」로 인식돼 통상기능이 떨어져 나가는 부작용이 있지 않을까 고심하고 있다. 동자부 직원들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화합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는 논의도 나오고 있다.<김일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