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상한제 피해 가자” 우량 물건 대량 공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2면

 특히 택지지구·신도시 등 공공택지 이외의 일반 민간업체 사업장인 민간택지에서 분양이 잇따른다. 업체들이 확대 실시되는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피하기 위해 올해 안에 서둘러 분양할 계획이어서다.

 업체들이 인허가의 고삐를 죄면서 올해 계획에 없던 물량까지 적지 않게 나올 것 같다. 재건축에 비해 일반분양물량이 많은 재개발 사업장들이 급하다. 서울 뚝섬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들도 올해 분양을 목표로 건축허가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상한제가 시행 중인 택지지구·신도시 등에서도 업체들이 올해 분양하는 게 낫다. 상한제 확대의 영향은 없지만 분양가에 포함되는 건축비가 9월 이후 사업승인 신청 물량부터 다소 내려가기 때문이다.

 하반기 나올 물량 가운데 개발 호재 등으로 수요자들의 이목이 집중될 단지가 많다. 민간택지에선 왕십리·노량진·북아현 등 서울 뉴타운과 용산 등의 재개발단지, 판교와 광교신도시서 가까운 용인 수지지역 물량 등이다.

 신도시로는 파주에서만 분양 계획이 있다. 경제자유구역인 청라가 하반기 분양을 시작하고 송도에서 분양이 계속된다. 택지지구에선 용인 흥덕·구성, 광명 소하, 고양 행신2, 남양주 진접, 양주 고읍 등이 예정돼 있다. 신도시급인 서울 은평뉴타운도 10월 나온다. 은평뉴타운과 송도, 택지지구 중에서는 구성 등 일부 물량이 공공택지인데도 상한제 적용을 받지 않는다.

 청약경쟁률은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입지 여건 등에 따라 차별화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 재개발 단지와 택지지구 등 인기지역 물량에는 청약자들이 몰리는 반면 소규모 단지 등은 썰렁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방 분양시장은 투기과열지구 일부 해제에도 기존 주택시장 침체 등으로 큰 활기를 찾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내외주건 김신조 사장은 “수요자들이 입지 여건, 개발 재료, 가격 상승 기대감 등에 따라 통장 사용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특히 9월 청약가점제 시행으로 청약점수가 낮은 수요자들이 9월 이전 적극 청약에 나설 것으로 보여 인기 단지의 경쟁은 더욱 치열할 것 같다.

 청약경쟁률이 높아지면 분양가 대출 규제가 강화될 수 있기 때문에 자금 사정을 챙겨둬야 한다. 정부는 당초 7월부터 수도권에서 분양가 6억원 이하의 중도금 대출에도 DTI(총부채상환비율)를 적용하려다 미뤘다.

안장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