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 압수수색 왜 했을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서울경찰청은 23일 세종대 경제통상학과 이상호.배기형.이환호 교수의 연구실을 압수수색했다. 이들이 지난해 서울시정개발연구원(시정연)의 의뢰를 받아 연구용역을 수행했기 때문이다. 경찰은 선관위의 수사 의뢰에 따라 시정연의 선거법 위반 여부를 수사 중이다.

세종대 부설 세종연구원은 1995년 '경부운하' 연구를 처음으로 시작했다. 당시 재단 이사장이던 주명건씨는 평소 "독일의 라인강 운하를 보고 감명받았다"는 말을 하며 교수들에게 "한국 실정에 맞는 운하계획을 만들어 보자"고 제안했다.

세종연구원은 그해 4월 '신국토 개조 전략'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냈다. 요지는 '한강과 낙동강을 잇는 500.5km의 내륙운하를 만들자'는 것이었다. 한강~금강~영산강(호남운하)을 비롯해 전국 5대 강을 운하로 연결하는 내용도 담겼다. 이듬해 말까지 세종대 교수들은 '물류혁명과 국토개조전략'이라는 주제로 각종 논문과 보고서를 냈다. 이상호 교수는 당시 운하의 경제적 효과를 평가하는 작업을 했다고 한다.

세종연구원의 제안을 정치무대로 처음 옮겨온 이가 한나라당 이명박 경선 후보다. 96년 7월 당시 초선 의원이던 이 후보가 대정부질문에서 '경부 운하가 건설되면 물류비용을 3분의 1로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세종대 관계자는 "교수들이 운하 연구를 한 적 있다는 점을 알고 있던 시정연에서 용역 제의를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시정연의 연구용역을 수행한 세 교수 중 이상호.배기형 교수는 이명박 캠프가 5월 말 발표한 '자문교수단' 대운하팀에 포함돼 있다. 두 교수는 캠프 합류 전에도 대운하 관련 각종 토론회에 참석해 "운하 건설의 경제적 가치가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경찰은 이 전 시장이 대선 공약을 위해 용역을 의뢰하라고 지시했다면 선거법 위반의 소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압수 문서를 분석한 뒤 조만간 관련자들을 불러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천인성 기자

사진

이름

소속기관

생년

[現] 세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경제통상학전공 부교수

1958년

[現] 세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경제통상학전공 교수

1952년

[現] 세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경제통상학전공 교수

1950년

[前] 세종대학교 이사장

1947년

[前] 서울시 시장

1941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