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소각장 건설 란항, 노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서울시가 추진해온 대형쓰레기 소각장건설 사업중 첫 사업인 노원쓰레기 소각장 건설계획이 혐오시설을 기피하는 주민들의 심한반발에 부딪쳐 난항을 겪고 있다.
16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상계6동772 노원쓰레기소각장 건설예정지 부근 주민들은 최근 소각장 위치변경을 청원키 위한 서명운동을 전개, 총5천4백가구중 4천여가구가 서명한 청원서를 시의회에 제출해 생활환경위가 이를 심사중이다.
시의회가 주민들의 청원을 수용, 오는 28일 열리는 임시회에서 소각장 위치변경안건을 통과시킬 경우 그 여파가 앞으로 연차적으로 지을 목동 등 나머지 10개지역 소각장건설사업에도 확산될 전망이어서 서울시가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소각장 서울시는 올들어 지난6월부터 가동된 김포해안매립장이 앞으로 20년후면 포화상태에 이를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쓰레기처리방법을 「매립에서 소각」으로 전환키로 하고 노원·목동 등 서울시내 l1개 지역에 소각장을 건설키로 하고 그 첫사업으로 노원소각장 건설을 추진해 왔다. <약도참조>
상계6동 2만1천평의 부지에 들어서는 노원소각장의 하루평균 쓰레기 처리량은 1천6백t으로 노원·중랑·동대문구 등 3개구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소각하게 된다. 목동소각장과 함께 오는 11월 착공, 95년 완공할 예정. 서울시는 오는 20일 공개경쟁입찰을 통해 이들 2개 소각장의 시공업체를 선정할 예정이었다.
◇주민반발=주민들은 쓰레기소각장 건립이 가져올 악취와 대기오염·소음공해·교통체증등을 우려, 건립을 반대하고 있다.
주민들은 시의회에 낸 청원서에서『소각장건립 예정지와 아파트가 밀집한 주거지역간의 거리가 30여m에 불과해 주거환경을 침해할 우려가 있고 쓰레기 수송차량이 하루평균 8백여대씩 왕복할 경우 교통이 마비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관련, 서울시 관계자는 『주민설득작업을 펴고 있으나 주민반대가 완강할 경우 착공을 연기하거나 소각장 위치를 변경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석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