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선거」대립… 국회는 낮잠/경색정국 타개부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YS “신축”발언계기 막후접촉/대선법 대폭손질 “다시 정치하자” 민자/대선불참 강경론속 유연성 보여 민주
국회공전이 계속되는 가운데 여야는 김영삼민자당대표의 「지방자치단체장선거 93년 실시가능」발언을 계기로 공식·비공식 대화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어 경색정국의 타개책이 모색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관계기사 2면>
민자당은 김 대표의 발언에 따라 「95년 동시실시」라는 기존입장 수정 및 대통령선거의 공정성을 보장할 대선법 개정방향에,민주·국민당은 진의파악과 대응책마련에 각각 골몰하고 있으며 3당 핵심인사들의 연쇄 막후접촉 움직임도 가속화되고 있다.
민자당은 ▲단체장선거 93년 또는 94년 실시 ▲대통령선거법 개정에 야당의견 대폭 수용을 새 협상안으로 마련했다. 김영구사무총장은 4일 『단체장선거는 95년 6월이내에 실시하되 14대 대통령당선자가 구체적인 시기를 선택토록 한다는게 우리당의 기본입장』이라고 말해 93∼94년으로 앞당길 수 있음을 재확인했다.
한 고위당직자는 『이미 정주영대표의 기자회견을 통해 신축적 태도를 보인 국민당과 대통령선거법의 획기적 개선으로 공조관계를 끌어내 지자제법을 통과시킨다는게 민자당의 기본구상』이라며 『대선법 개정방향에 따라선 민주당도 극렬반대입장을 누그러뜨릴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김대중 민주당공동대표는 이날 오전 『김영삼대표의 발언은 92년만 아니면 언제라도 단체장선거 실시가 가능하다는 의미로 이는 12월 대선에서 행정조직을 이용한 관권 부정선거를 하겠다는 의도』라고 일단 김영삼대표의 제의를 거부했다.
민주당은 단체장선거 연내실시 관철과,관철되지 않을 경우 대통령선거 불참의견까지 나오는등 강경입장에 변화가 없지만 대통령선거법 협상여부에 따라선 다소 신축성을 보일 수도 있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와 관련,최근 민자당 김덕룡총재비서실장과 민주당 한광옥사무총장이 여러차례 비밀접촉을 갖고 절충노력을 해온 것으로 알려져 주목을 끌고 있다.
정가 고위소식통은 『두사람간에 조율이 이뤄진 단계는 아니나 두 김씨가 대통령후보로 선출된후 첫 현안이라는 점에서 원만한 해결을 도출해내 정국운영의 실질책임자로 평가받아야 한다는 공동인식을 서로 교환했다』고 말했다.
한편 3당은 곧 총무회담과 별도로 총장회담을 열고 단체장선거와 대통령선거법 개정협상을 본격화하는 방안을 논의키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