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상용차 참여 시동/기술도입신고서 곧 제출할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경쟁촉진으로 수출산업 활성화/기존5사선 시장잠식 우려 촉각/신규참입 제한시한끝나… 첨단분야 개척
삼성이 상용차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준비를 서두르고 있고 이에 대해 현대·기아 등 기존자동차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그룹은 지난 90년 8월 대형트럭 등 상용차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계열 삼성중공업을 통해 정부에 기술도입신고서를 제출했다가 과당경쟁을 우려한 관련업계의 반발로 수리가 보류됐는데 조만간 기술도입신고서를 다시 낼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90년 당시 「1년쯤 뒤에 수급상황을 보아 다시 검토하자」는 정부측의 답변에 따라 지난해말부터 기술도입신고서의 접수시기를 검토해왔는데 더이상 미룰 수가 없다고 판단,최근 상용차사업 참여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삼성은 최근 섬유산업의 경쟁력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인근지역(경남 함안군 칠서공단)에 새로운 공단을 조성,상용차공장을 지어 섬유업계 근로자를 흡수해 트럭·트랙터·버스 등 대형상용차와 특장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기존업계는 이에 따라 11일 오후 자동차 5사의 기획담당임원들이 자동차공업협회에서 임시상임위원회를 열고 삼성의 참여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한데 이어 13∼14일 이틀동안 강원도 용평에서 5사 사장단모임을 갖고 구체적인 공동대응방안을 마련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업계는 현재 건설경기의 진정으로 대형상용차 재고가 2천여대에 이르러 가동률이 눈에 띄게 떨어지고 있으며 삼성이 신규참여할 경우 생산감축과 출혈판매로 산업기반이 약화될 우려가 많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기존업계는 특히 삼성의 상용차시장 참여는 결국 승용차사업을 겨냥한 것으로 판단,이를 저지하기 위해 총력로비를 펴고 있다.
그러나 삼성측은 이미 산업합리화조치가 해제돼 모든 사업에 대한 신규참여가 자유화된 마당에 삼성의 참여를 막는 것은 명분이 없으며 삼성의 참여는 기술개발과 품질경쟁을 촉진시켜 오히려 국제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삼성은 또 기존업계가 상용차의 재고증가를 들어 삼성의 참여를 반대하고 있으나 아무리 빨리 서둘러도 94년이후에나 생산이 가능,앞으로 고속전철·신공항건설 등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투자수요를 감안할때 과잉투자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또 상용차수입이 자유화돼 지난해 5천1백63대(3억6천2백만달러)의 상용차가 수입되는 등 89년이후 지난해말까지 1만1천3백13대(7억2천2백만달러)가 들어왔는데 외제수입은 허용하면서 국내기업의 생산을 막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삼성은 특히 일본의 경우 전체수출중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17%,전자 10%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자동차는 5%에 불과하고 전자는 30%에 가까워 앞으로 자동차산업의 육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예컨대 일본은 자동차수출중 상용차의 비중이 23%에 이르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3%에 불과해 상용차를 수출전략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삼성의 관계자는 『과거 60년대말 삼성전자가 전자사업에 처음 참여할때도 과잉투자시비가 있었으나 현재 우리나라의 전자산업을 보면 당시의 시비가 무의미한 것이었다』고 말하고 업계가 자율경쟁을 정부에 건의하면서도 업계의 이익이 걸린 사안에 대해 기득권을 주장하고 「정부의 간섭」을 스스로 요구하는 것은 바람직한 풍토가 아니라고 밝혔다.
한편 주무부처인 상공부는 『삼성의 기술도입신고서가 상공부 문서계에 접수되면 그때 가서 수리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길진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