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클럽이 어디야”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중앙SUNDAY
서울 북창동이 세인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보복 폭행 의혹 사건의 피해자가 북창동 유흥주점 종업원으로 밝혀지면서부터다.

김승연 회장 보복폭행 의혹 사건의 피해자가 일하고 있는 서울 북창동 S클럽.


한국은행 본점~남대문~프라자호텔로 이어지는 삼각형 모양의 북창동은 300여 개의 음식점이 몰려 있는 대표적인 먹자골목. 그러나 30~40대 샐러리맨에게는 ‘북창동 식’ 술집으로 더 유명하다. 서울 시내 한복판에 위치해 교통이 편리한 데다 포장마차부터 유흥주점까지 다양하게 즐길 수 있어 서소문ㆍ명동ㆍ무교동ㆍ을지로 등 주변에서뿐만 아니라 외곽에서 찾아오는 손님도 많다.

금요일인 4일 오후 11시. 유흥주점이 밀집해 있는 거리는 황금시간대임에도 불구하고 간간이 ‘삐끼’들이 명함을 주며 손님을 유혹하는 것 외에는 썰렁한 모습이다. 북창동관광특구협의회 민병렬(57) 회장은 “사건이 불거진 뒤 경찰관이 수시로 순찰을 돌고 취재기자들이 몰려오는 바람에 영업에 많은 지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 유흥주점 사장은 “단기적으로는 손님이 줄겠지만 북창동이 언론에 많이 오르내려 홍보되는 측면도 없지 않아 나쁘게만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10년 동안 북창동에서 맥주집을 운영해 온 이모씨는 “요즘 김승연 회장 사건의 무대가 된 S클럽이 어디냐고 묻는 손님이 많다”며 “이 업소가 명소가 되면 영업에 도움이 되지 않겠느냐”고 기대했다.

북창동 유흥가는 1980년대 중반 업소들이 하나 둘 들어서기 시작해 2000년대 초반 100여 개가 불야성을 이루며 전성기를 구가했다. ‘예약제’를 거부하고 ‘선착순’으로 손님을 받을 정도였다.

그러나 현재는 15개 업소가 근근이 명성을 잇고 있다. 한 달 전 L업소가 문을 닫고 매물로 나와 있지만 새 주인이 나서지 않고 있다. 중구청 관계자는 “몇 곳은 서류상으로만 영업할 뿐 실제로는 장사가 안돼 폐업한 상태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강남 유흥주점에 손님을 빼앗긴 결과다.

이곳 업소들은 대형화로 재기를 노리고 있다. 작은 주점끼리 합치거나, 자본력 있는 주점이 2~3개의 주점을 합병하는 방식이다. 대부분 30개 이상의 룸을 확보하게 된 것도 이 같은 까닭이다. 큰 룸은 한꺼번에 20여 명의 손님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크다.

업소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몇 년 전 1인당 30만~40만원 하던 술값이 현재는 20만원으로 떨어졌다. 북창동으로 ‘출근하는’ 사람은 어림잡아 1000명. 여성 접대부 300여 명, 영업상무 600여 명에 웨이터가 100여 명이다. 이 밖에 영업을 총괄하는 전무가 업소마다 있다.

주점의 매출액을 좌지우지하는 영업상무는 30세 전후의 남성이 주류지만 여성도 30% 정도 된다. 수시로 안부 전화를 하고 작은 선물을 보내는 등의 방법으로 한 사람이 100~200명의 단골을 관리한다. 이들은 자기가 유치한 손님이 내는 술값의 35%를 수입으로 챙긴다. 유능한 영업상무는 한 달에 1000만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경우도 있는데 업소 주인들은 이들을 놓치지 않기 위해 지분의 일부를 떼어주기도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