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책갈피] 쾌락이 뭔지, 속속들이 알려줄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즐거움의 가치사전
박민영 지음 청년사, 388쪽 1만9800원

"독창성은 다른 텍스트들과의 관계 속에서 탄생한다. 줄리아 크리스테바는 '모든 텍스트는 인용의 모자이크로 구축되어 있으며 텍스트는 또 다른 텍스트를 흡수 변형한 것이다.'라고 했다."

지은이의 글쓰기 방법을 정의하는데에는 책에 인용된 이 문구보다 더 들어맞는 말은 없을 듯하다. 지은이는 로맨스.가족애.섹스.스킨십부터 권력.전쟁 등의 사회적 쾌락, 산책.여행.음주 등의 여가, 독서.신앙.교육 등의 지적 쾌락까지 '쾌락'에 관한 총 41개 키워드를 다뤘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텍스트가 인용됐다. 책의 일부만 보면 '여러 책을 잘 짬뽕했다'는 정도로 가볍게 여길 수 있지만 책장을 뒤로 넘길수록 만만치 않은 지은이의 공력에 혀를 내두르게 된다.

방대한 독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잡다한 지식이 먼저 눈에 띈다. 예컨대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된 매춘은 수메르의 '신전 창부', 즉 종교에 의해 행해졌고 최초의 포주는 사제였단다. 알코올 중독이 등장한 건 술을 대량 생산하고 저장.유통하게 된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스웨덴 의사 마뉴스 후스가 1849년 '알코올 중독'이란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고. 지은이는 '민족주의'같은 데에까지 쾌락의 범위를 넓힌다. 에릭 홉스봄에 따르면 '국어'란 용어가 등장한 건 프랑스 혁명 이후의 일이란다. 프랑스 혁명을 계기로 집단 속에 속해 있을 때 안도감을 느끼는 일체감의 쾌락, 즉 민족주의가 발흥했다는 것이다.

하나하나 예를 들어 설명하기엔 책이 다루는 내용이 너무나 방대하다. 책 말미에 한국어.영어.프랑스어.독일어로 된 참고서적 목록만 12쪽에 달할 정도다. 당연히 글 속에서 또 다른 책으로 연결되는 길을 발견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41개 주제 중 특정 키워드의 내용이 특히 신선하게 느껴진다면 평소 그 분야 독서를 소홀히 했기 때문이리라. 각 장마다 나름의 결론을 끌어내는 지은이의 시각도 참고할만하다.

"성실한 독서가는 책을 참고로 자신의 텍스트를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는 자신의 말대로, 그는 성실한 독서가임을 증명한다.

이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