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전국구에 거는 기대/정순균 정치부기자(취재일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민자당이 전국구후보를 발표한뒤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도 오는 9일 발표 예정으로 전국구공천을 협의중이나 후보인선을 둘러싸고 일부 당직자와 현역의원들이 반발하고 나서 벌써부터 어수선한 분위기다.
일부 당료출신들은 『주먹구구식으로 하지말고 명확한 공천기준을 세워야한다』고 목청을 높이는가 하면 어떤 현역 전국구의원은 동교동 김대중 대표 자택에서 철야 농성까지 벌이며 마지막 「선처」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미 알려진 일부 후보들에 대해서는 함량미달이라는 자격시비가 당내외에서 일고 있기도 하다. 또 수십억 정치헌금설로 온갖 잡음이 흘러나오고 있다.
민자당이 전국구후보를 발표하자 직능대표의 의정참여라는 전국구 본래의 취지가 퇴색됐다는 비난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그런데도 민주당의 전국구 인선과정에서 전국구가 정치자금 마련창구로서의 기능만이 지나치게 두드러져 벌써부터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형편이다.
민주당이 이같은 우려와 지적을 최소화하는 노력을 어떻게 벌일지 주목된다.
지금까지 알려진대로 민주당이 당지도부와 헌금공천자를 적당히 묶어 밖으로는 「구색」을 강조하고 안으로는 자금을 챙기는 식으로 전국구 인선을 한다면 민자당 못지않은 후유증을 앓을게 뻔하다.
가령 「거액」때문에 야당대열에서 30년 함께 싸워온 동료가 희생되거나 전국구에 요구되는 직능대표성이나 전문성을 몰각할 때 당안팎 반응이 어떨 것인가. 또 영호남 화합차원이란 명분아래 당이 정책적으로 대구사람을 전남(영광­함평 보궐선거)에서 당선시켜놓고 역시 「거액」 때문에 1회용으로 폐기처분할 때 어떤 반응이 나올 것인가.
특히 영광­함평 이수인 의원의 경우 영호남지역 교수 79명의 연명건의와 호남출신의원 17명의 공천건의도 있어 처리가 주목되고 있다.
이처럼 민주당의 전국구 인선은 민자당이 한차례 「죽」을 쑤었기 때문에 더 관심사가 되고있고 인선내용을 저울질할 여러가지 「자료」를 당내에 안고 있다. 민주당은 그들을 지켜보는 눈들을 민감하게 의식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