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다리 추락방지 철책 설치방침 오락가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최근들어 한강교량에서 자동차 추락사고가 잇따르고 있으나, 서울시는 오히려 지난해부터 추진해오던 「한강교량 추락방지 철책 설치사업」을 중단, 조령모개식 행정이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88년 천호대교에서 발생한 시내버스 추락사고(19명사망)를 계기로 지난해 4월 95년까지 연차적으로 시내14개 한강다리에 추락방지용 철책을 설치키로 하고 1개 다리당 2억원씩 4억원을 투입, 양화대교(89년) 천호대교(90) 설치작업을 마친데 이어 내년중에는 영동대교와 한강대교에 이를 각각 설치키로 했었다.
그러나 시는 92년 예산편성 과정에서 설치비용에 비해 별효과가 없다는 이유로 계속사업비를 제외시켜 사실상 철책설치사업을 중단했다.
추락방지철책은 기존의 다리난간과는 별도로 교량위 보도와 차도사이에 알루미늄재질로 폭20cm 높이 80cm규모로 설치, 차량이 난간을 들이받고 한강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토록 되어있다.
한편 올들어 지난 5일과 15일 승용차가 허약한 난간을 들이받고 한강으로 떨어진 2건의 추락사고가 발생, 모두 3명이 숨졌다.
그러나 양화대교에서는 지난 24,25일 각각 한건씩 승용차가 차도를 이탈한 사고가 발생했으나 지난해 설치한 방지철책에 걸려 추락을 모면했다.
이는 추락방지철책이 제기능을 하고있음을 말해주고 있으나 서울시가 사업을 돌연중단, 시민들의 비난이 잇따르고 있다. 서울S문수 택시기사 한동원씨(35)는 『시민생명과 직결된 사업을 효과가 없다는 이유로 중단하는것은 납득이 안간다』며 시정책을 비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