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평|장원 시어선택 단호 상투성 극복|차상 시적 합축과 긴장미 돋보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투고자들이 차츰 현대시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는 것은 오늘의 시조가 생활의 의미에서든, 문학적 의미에서든 바르게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증거로 받아들여야 할것이다.
장원으로 뽑힌 정휘주씨의 작품 「선인장」은 바로 그런 뜻에서 매우 귀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우선 이작품은 시조의 상투적 정서를 극복하고 있다. 시어의 선택이 단호하고 분명하며 상징의 의미들이 또한 그러하다.
현대시조의 방향은 바로 이런 점에서부터 새로워져야 한다. 특히 「어둠은 몇겹 추위로/각질처럼 굳어 오고」와 같은 구절은 지은이에 대한 문학적 신뢰를 더욱 든든하게 한다.
단지 둘째 수종장의 자수이탈이 흠이긴 하나 현대시조를 이해하는 관점이 남달라 큰 의미에서 장원의 짐을 지웠다.
차상으로 뽑은 최정선씨의 「남천강」은 함축과 긴장미가 돋보인다. 둘째수 종장의 「꿈들이여」에서 호격조사가 눈에 거슬리긴 하여도 시어에 대한 해석이 정확하고 번뜩이는 에스프리가 지은이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하였다.
차하의 김세영씨 「가을에는 마치 모세혈관처럼 섬세한 감각이 현대시조의 한단면을 보여주는 것 같아 반갑다. 기교와 시정신의 융합에 대한 이해가 뒤따른다면 분명히 좋은 시조를 쓸것 같다..
「삼칸 집」은 단수로서 잘짜여진 작품이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시상이라도 주제가 낡았다면 그 가치는 덜 빛나는 법이다. 그런 의미에서 「보름달」과 「국화에게」도 마찬가지 경우가 되겠다. 「갈대」와 「파도」는 다소 흐름에 불안감은 있으나, 시조에 대한 접근방법이 진지해 충분한 감성훈련만 거친다면 좋은 성과가 작품으로서 반드시 나타나리라고 본다. <심사위원:유재영·이우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