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통 … 북·일 관계정상화 회의 난항 끝에 오늘 재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7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일 국교정상화 실무회의에 참석한 북측 송일호 교섭담당 대사(左)와 일본 측 하라구치 고이치(原口幸市) 대사. 이날 회담에서 북한은 과거 청산을, 일본은 납치 문제를 각각 강조했다. [하노이 AFP=연합뉴스]

일본과 북한이 7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시작했던 관계 정상화 실무 회의가 결렬 위기 끝에 8일 재개된다. 일본 측 협상 대표인 하라구치 고이치(原口幸市) 북.일 교섭 담당 대사는 7일 하노이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8일 오전부터 북한 대사관에서 양국 간 관계 정상화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회담은 결렬될 위기에 처했었다.

양측은 이날 오전 하노이 주재 일본 대사관에서 회의를 연 데 이어 오후에 북한 대사관으로 장소를 옮겨 속행할 예정이었으나 북한 측이 "오후 회담을 열지 않겠다"고 밝힘에 따라 회의가 중단됐다. 6자회담의 2.13 합의에 따른 이번 회의는 정부 간 공식 협의로는 지난해 2월 베이징 협의 이후 13개월 만이다.

회담이 결렬 위기를 맞은 것은 납치 문제 해결을 우선하는 일본 측 입장과 납치 문제는 이미 해결된 사항이라는 북한 측 입장이 맞섰기 때문이다. 이는 회담 개막 전부터 예상되던 일이었다.

일본은 오전 회담에서 "납치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는 다른 사안을 논의할 수 없다"는 주장을 펼친 것으로 전해졌다. 하라구치 대사는 회의에 앞서 기자단에 "납치 문제 해결 없이는 국교 정상화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거듭 전달할 것이다. 최대의 목적은 모든 납치 피해자의 조기 귀국이다"고 말했다.

이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의 일관된 입장이다. 일본은 지난달 6자회담에서 납치 문제를 이유로 들며 대북 지원에 참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북측은 회담 중단 선언이란 강경책으로 일본의 강경 자세에 대한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뉴욕에서 열린 북.미 협의가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진지한 논의를 펼친 것과는 대조적으로 회담 결렬을 선언함으로써 일본이 6자회담에서 고립되고 있다는 이미지를 심으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북한 측 수석대표인 송일호 북.일 국교정상화교섭 담당 대사는 오전 모두 연설을 통해 "불행한 과거를 청산해 상호 현안 사항을 해결하고 싶다"고 말했다. 하지만 납치 문제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북측은 과거사 청산 문제와 함께 ▶일본의 대북 경제 제재 해제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에 대한 탄압 중지 등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납치 문제에 대해 북한은 기본적으로 "김정일 위원장의 사과와 조사 결과 전달로 이미 해결된 사안"이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도쿄=예영준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