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상처” 김 총재 막판 중재/일단 타협점 찾은 신민 갈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제명 강행할땐 집단탈당」에 위기감/야권통합 싸고 동상이몽 불씨 여전
신민당 당무회의가 5일 조윤형 국회부의장에 대한 당기위의 제명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고 정권1년조치를 취함으로써 주류와 비주류인 정치발전연구회는 일단 타협점을 찾았다.
이에 따라 신민당은 정발연 회원들의 집단 탈당사태를 막을 수 있게 됐으며 민주당과의 야권통합작업에 나설 전망이다. 그러나 야권통합운동과정에서 주류와 비주류측은 동상이몽을 하고 있어 양측간에는 언제든지 일촉즉발의 불씨를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조부의장은 이날 아침 열린 정발연회의에서 ▲당무회의에 불참하고 ▲포괄적 수준 이상의 사과는 못하겠다는 당초 입장을 바꿔 당무회의에 참석,사과해 타협점을 끌어냈다.
이날 당무회의에서 주류측은 조부의장의 사과내용이 미흡하긴하나 「제명같은 극약처방은 부적절하다」는 김총재의 의사에 따라 정권으로 일단락짓기로 결정.
박상천 대변인은 김총재의 심경변화에 대해 『1일밤 조부의장이 동교동자택에 찾아가 사과한 것이 의미가 있었다』고 배경설명을 했다.
지난달 29일 당기위가 조부의장 제명을 당무회의에 제소키로 결정한 뒤부터 이날 번복에 이르기까지 1주일간 신민당은 양당사자를 포함한 몇개 그룹이 절충과 충돌을 되풀이하며 「조윤형문제」 해결을 모색해 왔다.
김총재측은 『13대 남원 공천발언내용의 언론유출과정을 사과하고 내용자체가 사실이 아님을 공개석상에서 분명히 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조부의장은 『내가 언론에 공천비리사실을 유출하지 않았으나 「물의를 일으킨데 대해 포괄적 사과」만 할 수 있다』면서 공천내용부분에 대해서는 『사실인 것을 어떻게 사실이 아니라고 하느냐』고 완강하게 버텼었다.
문제의 「합리적 해결」은 주류온건파 서울시 출신 의원·정발연 의원들 사이에 진행됐다.
최영근·이용희 최고위원과 김원기 의원·조세형 정책위의장·김영배 총무 등 서울시 출신 중진급 의원,정발연의 노회장,정대철·이상수 의원 등은 5일 새벽까지 수차례 접촉해 양측의 중재를 모색.
일요일인 4일 접촉에서 조정책의장·김총무는 『조부의장이 포괄적 수준의 사과에 덧붙여 총재 가족의 공천헌금관련 사실을 정치적 또는 우회적으로 부인하는 해명을 당무회의석상에서 할 경우 주류측은 징계내용을 경감한다』는 중재안을 양측에 제시했다.
결국 조부의장이 이날 아침 당초 작성한 사과문중 「공천비리 내막에 대해 사실이든 사실이 아니든」이라는 부분을 삭제하고 「공천비리금품설을 언론에 발설한 적이 없음에도 과장 보도돼 당과 총재에 누를 끼쳐 유감스럽다」는 부분을 삽입키 해 절충점이 마련된 것. 주류측은 이를 「진정한 사과」로 받아들여 일단 「조윤형 파동」을 매듭지었다.
양측간의 이같은 극적인 타협은 「공천비리」문제를 놓고 극한대결을 해봐야 서로간에 전혀 실익은 없고 상처만 공동으로 입는다는 현실적 계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부의장의 제명방침 번복으로 정발연 회원들은 집단탈당의 명분이 없어지게 됐고,따라서 당공식기구를 통한 야권통합에 나설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민주당도 신민당내분이 진정됐다고 보고 신민당과의 공식통합 활동에 나서기로 했다.
따라서 야권은 내분국면에서 야권통합 국면으로 초점을 옮기고 있다.
신민당 주류측은 「김총재 가족 비리관련설」이 이제 「사실무근」으로 마무리됐다고 보고 있으며 ▲야통작업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이는 한편 ▲당직개편·당정비→지구당개편대회→선거법·정치자금법 개정 대여협상→총선체제 돌입의 수순을 밟아나간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통합안 자체에 대한 주류·정발연·민주당의 이견이 커 야권은 이를 둘러싼 새로운 진통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전영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