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사실무근…與圈도 속사정 다 알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민주당은 후원금 증발설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대선자금 의혹의 물타기라고도 되받아쳤다.

김성순 대변인은 열린우리당 정대철 의원을 겨냥해 "대표까지 지내 누구보다 당시 당 사정을 잘 알고 있을 텐데 엉뚱한 발언을 한다"며 "노무현 캠프의 대선자금 의혹에 더 이상 물타기를 하지 마라"고 말했다.

한화갑 전 대표는 "내가 대표로 있을 때 선관위에서 나온 1백29억원을 모두 선거대책위원회로 넘겼고 당에는 월급도 주지 못했다"면서 "항상 돈에 쪼들려 지구당 운영비도 제대로 못 보냈다"고 말했다.

韓전대표는 "선거 때 당과 선대위에서 1원 하나 얻어쓴 게 없다"고도 했다. 지난해 중앙당 후원회장을 맡았던 정균환 총무와 박상규(현재 한나라당 소속)의원 등은 후원금 증발설에 대해 "무슨 얘기인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실무자들은 중앙당 후원금의 회계처리 관행 때문에 생긴 일이라고 주장했다. 당 재정 업무에 밝은 한 당직자는 "법정 후원금 한도를 넘어 돈을 썼을 경우 초과분은 장부상 그 다음해에 지출한 것으로 기록하는데 이렇게 처리하다 보면 장부에는 돈이 있는 것으로 기록돼 있지만 실제는 없는 경우가 생긴다"고 설명했다.

선거가 없는 해의 경우 중앙당 후원회의 후원금 모금 한도는 3백억원. 하지만 실제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이 모으는 것이 관행이고 대신 대선.총선 등이 있을 경우 모금 한도와 지출액이 늘어나는 만큼 이때 장부 처리를 하거나 이마저 초과되면 그 다음해에 지출한 것으로 짜맞추곤 한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선관위에 보고한 장부상 액수와 실제 입금액 간에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것이 증발설로 둔갑했다는 주장이다.

특히 이 당직자는 "선거 때 책임을 맡으면 자기 돈까지 쏟아붓는 상황이 허다한데 당의 돈을 개인 용도로 사용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라며 '횡령설'을 부인했다. 그는 "회계 처리를 둘러싼 이 같은 속사정은 열린우리당에 가 있는 인사들도 다 아는 내용"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는 이 같은 주먹구구식의 회계 처리가 횡령 가능성을 키우는 것이 사실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더구나 중앙당이 후원회에서 비공식적으로 받은 돈의 규모는 핵심 인사들만 아는 내용이어서 검증 자체가 어렵다.

민주당 김경재 의원은 "(증발설은)지난해 대선 이전의 몇몇 보궐선거 경비 등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아 생긴 일일 것"이라며 "열린우리당 인사들이 이 문제를 가지고 그동안 공갈을 많이 쳐왔다"고 말했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