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비닐 수매가 33%인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폐비닐(합성수지)에 의한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정부는 폐비닐 수매가를 현행보다 33% 인상키로 했다.
또 비닐제조회사들도 썩는 비닐개발 및 보급에 앞장서기로 했으며 백화점 등 대형유통업체들도 비닐 포장지를 최대한 줄이고 썩는 비닐 공동제작·사용을 추진하기로 했다.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회장 김순)은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3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비닐공해대책마련을 위한 공개토론회를 가졌다. 차승환 환경처 폐기물제도과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폐비닐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현재 농촌주민들을 상대로 지급하는 폐비닐 수거대금을 kg당 75원에서 오는 7월1일부터 l백원으로 인상키로 했다고 밝혔다.
차 과장은 한국에서의 합성수지(비닐) 생산 및 공급량은 매년 15%이상 급속히 늘고있으며 비닐원료공급량은 89년 현재 2백12만t을 넘었는데 이중 포장재로 사용되는 필름형태는 32%인 30만4천t에 이른다는 것이다.
그중 92만2초t가량이 폐기물로 배출됐고 폐기물 중 회수돼 재활용된 양은 35%로 추정된다.
한편 썩는 비닐은 현재 일반비닐보다 18% 생산원가가 비싸나 기술개발로 생산비용의 절감전망은 밝다는 것. 유통업체 대표들도 썩는 비닐 사용 시 30%이상의 부담이 늘지만 차차 일반비닐을 줄여나가기로 했다. 소비자대표들은 앞으로 환경오염방지에 비협조적 회사제품은 불매운동을 하는 등 시민운동차원에서 규제 및 감시를 강화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석인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