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 대비 통화관리 강화/5천억 예대상계 요청/한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대출금 선거에 전용 우려
한국은행은 20일로 확정된 광역의회선거를 앞두고 통화증발이 우려되는등 통화관리여건이 악화되고 있다고 판단,시중·지방은행 및 국책은행에 대한 적극적인 창구지도에 나서고 있다.
3일 한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과 1일 이틀동안 22개의 모든 은행을 대상으로 하루 5천억원씩 1조원의 자금을 3일짜리 RP(환매조건부 채권) 매각을 통해 빨아들인데 이어 시중·지방은행에 5천억원 규모의 예대상계를 실시해줄 것을 요청했다.
한은은 중소기업·국민·주택은 등 국책은행들도 예대상계에 협조해줄 것을 당부했다.
은행들은 올들어 지난 3월까지 매달 3천억∼5천억원 규모의 예대상계를 실시했으나 4,5월에는 이를 중단했었다.
1·4분기(1∼3월)중 계속되던 예대상계가 2개월간 중단됐던 것은 시중 자금난에 따른 기업자금난을 다소라도 풀어주려는 배려때문이었으나 이달 들어 선재개된 것은 일반대출금의 거자금으로의 전용등으로 통화관리가 목표치(총통화 17∼19% 증)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관계자는 이와 관련,은행권이 그동안 조달금리와 대출금리차에 따른 역마진현상 해소를 위해 기업들에 대한 대출에 대해 실시해온 「꺾기」로 통화가 실제공급된 유동성보다 크게 늘어난 것을 통화지표가 왜곡돼 있어 이를 바로 잡는 효과도 있다고 밝혔다.
▷예대상계◁
금융기관이 기업에 내준 대출금을 해당기업의 예·적금과 서로 상살시켜 대출금을 회수하는 것으로 기업쪽에서 보면 자신의 예·적금을 인출,대출금을 갚는 효과가 나타난다.
예대상계가 실시되면 그만큼 예·적금이 총통화(M□)에서 빠져나가기 때문에 통화량은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기업으로서는 예·적금잔고가 바닥나 가용자금이 줄어들어 자금경색을 겪게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