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중 우울증 약물 복용 태아 영향 '無'

중앙일보

입력

임신중 산모의 우울증 치료제 복용이 태어날 아이의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 오버랜드 박사팀이 프로작이나 졸로프트등의 세로토닌 재섭취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RI) 계열의 우울증 약물에 노출된 4세 연령의 22명 아동과 노출되지 않은 14명의 아동을 비교한 결과 나타났다.

연구결과 정서 장애를 가진 산모들이 아이들에 대해 관심이 덜 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특히 우울증 약물을 복용한 산모의 아이들에게서 이와 같은 무관심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엄마에 의해 우울증 약물에 노출된 아이들이 출생과 더불어 약물의 금단증상에 의해 공격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았으나 이와 같은 차이는 통계적으로 큰 의미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아이들이 4세가 됐을때 정서장애를 가질지 여부는 임신 기간중 우울증 약물 복용과 무관하게 산모의 임신중 정서적 장애및 스트레스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우울증 약물을 복용한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이들의 금단증상이 이들이 4세가 됐을때 보이는 정서장애의 원인이 아니라고 100% 배제할 수는 없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