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 정원 대폭 확대/95년까지 6만명 늘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민간기업 전문대 설립 권장/자원 방위소집 대상자 활용/산업인력난 해소 대책 마련
정부는 산업인력난 해소를 위해 전문대정원을 대폭 늘리며 수도권 이공계대학 증원도 허용하고 서비스산업의 인력절감방안을 마련하는등 다각적인 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지난 3월 제조업 경쟁력강화대책을 내놓을때 92년부터 95년까지 4년간 연간 9천명씩 총 3만6천명의 공업계 전문대 정원을 늘리기로 했는데 이와 관련이 깊은 비공업계 증원도 필요하다고 판단,전문대 증원계획을 대폭 상향조정키로 했다.
이에 따라 공업디자인·정보처리·보석가공 등을 중심으로 비공업계 전문대 정원을 92∼95년에 연간 6천명씩 총 2만4천명을 별도로 증원할 계획이다.
이 경우 전문대 정원은 95년까지 모두 6만명이 늘게 된다.
정부는 이같은 증원에 따른 재원조달을 위해 민간기업이 대학설립의 일정요건을 갖추면 설립허가를 대폭 허용해주는 쪽으로 5월중 관련업계 참여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또 92∼95년까지 매년 4천명씩 총 1만6천명을 늘리기로한 이공계대학 정원중 매년 2천명씩을 수도권대학에 배정해주기로 방침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서울·경기·인천지역에 대학의 신설·증원을 금지 또는 제한하고 있는 수도권 정비계획법 시행령을 상반기중 개정키로 했다.
교육부는 증원에 대비,서울대·연세대·고려대·한양대·서강대·성균관대·경희대·인하대·광운대 등 증원여지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수도권대학의 여건조사에 착수했다.
증원대상학과는 전기·전자·제어계측·생명공학 등 첨단과학분야며 신소재공학과 등의 신설도 검토되고 있다.
정부는 또 서비스산업으로 몰리는 인력을 제조업쪽으로 돌릴 수 있게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백화점등 서비스산업의 인력절감방안을 마련,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방위소집 대상자중 1만∼1만5천명을 지원에 의해 선발,4주간 군사교육을 받은 후 5년간 지정산업체에서 근무하면 병역의무를 마친 것으로 하는 군인력 활용방안도 거의 매듭짓고 병역특례법 시행령 개정 입법예고 등을 거쳐 가능한한 빨리 시행에 들어가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